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기존의 아미노산은 4개의 염기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가령 글루타민은 ‘CAA’, 리신은 ‘AAA’ ‘AAG’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자연계에 없던 새로운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굴삭기 로봇’을 내놓을 예정이다. 조 선임연구원은 정교한 로봇손도 개발 중이다. 기존의 유압식 로봇팔에서 손목 부위는 180도로 움직이는 사람 손목과 달리 45~70도로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움직일 때마다 손목 부위가 덜렁거려 제어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옵섹(OPSEK)’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 새로운 모듈을 발사하고 기존 모듈과 조합해 ISS 4분의 1 크기의 유인 우주정거장을 만들겠다는 시나리오다. ISS의 운영이 종료되면 2022년 중국이 운영 예정인 ‘중국우주정거장(Chinese Space Station)’이 지구 저궤도에서는 유일한 정거장이 된다. 민간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라는 의문을 가져본, 사람의 행동과 감정을 파악하는 일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기존 심리학으로 해석한 도서와 달리 색다른 흥미를 돋울 것이다. 사회적 성격을 알기 위해 사주나 혈액형별 성격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뇌를 탐구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도 하다.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나노 크기가 되면 화학적, 기계적, 전자적, 광학적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고, 이를 이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이 돌아간 ‘그래핀’처럼 새로운 나노 소재를 개발할 수도 있고, 반도체 메모리의 집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 기술을 연구할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르기 때문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남자친구를 바라보다가 잠시 한 눈을 팔면(카메라를 돌리면) 그가 “자기야 어딜 봐, 나를 봐야지”라고 말하는 훈훈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그러나 VR은 시선을 마음대로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명 ‘트라이스타’ 여객기다. 1968년 첫 비행 당시 트라이스타는 당대의 최신기였다. 기존보다 진보된 자동조종 시스템을 채택했고, 보잉 747처럼 관성항법장치를 탑재해 항로 이탈을 방지하는 등 최첨단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런데 1971년 우베 라인하르트(Uwe Reinhardt)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이 ... ...
- [가상인터뷰] 새로운 사냥법을 개발한 브라이드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수면 위로 올라온 거죠. 알리: 또 다른 이유는 뭐야? 브라이드고래: 새로운 사냥법은 기존의 사냥법보다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요. 물속을 빠른 속도로 돌진하려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거든요. 한편, 입을 크게 벌리고 몇 초간 유지하는 사냥법은 에너지가 덜 들지요. 연구를 이끈 다카시 이타와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무선 인터넷망을 활용해 사물인터넷 거리를 만들어 에너지 효율을 높였어요. 2015년에는 기존의 수은 가로등을 LED로 교체하며 각종 센서와 와이파이 기기를 함께 달았어요. 그 결과 시민들은 거리 어디에서나 무선 통신을 쓸 수 있게 됐지요. 또한 센서가 소음, 공기질, 빈 주차 공간 등을 파악해 ...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효율은 아직 5%에 불과 하지만, 앞으로 기술이 발전하면 효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며, “기존에 사용하던 태양 전지판과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함께 사용해 앞으로 필요한 에너지의 거의 100%를 얻게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