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홍홍홍.”간단한 거울 문제다. 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물체를 마주보는 거울
사이
에 놓으면 물체가 무한대로 보인다. 양쪽 거울이 계속 반사하기 때문이다.“거울 두 개를 60도로 붙여놓고 물체를 거울 앞 쪽에 놓으면 거울에는 물체가 몇 개 나타날까요?”미션4 소금쟁이를 물에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만나 ‘눈꺼풀구석’이라는 조직을 만들지요. 사라진 콘택트렌즈는 눈 어딘가나 눈꺼풀
사이
에 걸려 있을 거예요.2 콘택트렌즈를 끼고 잤더니 콘택트렌즈가 눈에 붙어 버렸어요!콘택트렌즈를 끼고 자면 안구의 수분이 말라 버려서 각막과 콘택트렌즈가 딱 달라붙을 수 있어요. 이럴 때는 빼기 전에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대부분 바다나 인간이 살지 않은 곳에 떨어지기 때문에 괜찮아요.윽, 이야기 나누는
사이
에 유성우 쇼가 모두 끝나 버렸어. 아직 지지지 밖에 못 했는데!유성우는 거의 매달 있어요. 특히 혜성 궤도를 지나는 7~8월에 집중돼 있지요. 또 올해 11월에는 혜성 ‘아이손’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하는 ... ...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있었어. 이렇게 투명한 에메랄드 빛 바다는 처음 봤지?탐사대원들이 스노클링을 즐기는
사이
나는 넋을 잃고 바다를 바라봤지 뭐야.뉴칼레도니아에서 찾은 나만의 포트폴리오탐사대원들은 숙소로 돌아와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시간을 가졌단다.탐사에 앞서 미리 제출한 아이템과 형식을 고려해서 ... ...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훨씬 복잡하지만 언젠가는 사람 뇌에도 가짜 기억을 심을 수 있을 거 아니야! 당장 ‘
사이
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들을 납치해서 연구시키는 거지. 이제 내 꿈인 브레인 컨트롤 칩을 만드는 날도 머지않았군! 크하하하하!역시 과학기술은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무척 중요하군요. 악당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그 이유는 얼음 표면이 얇은 물 층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영하 0℃에서 영하 50℃
사이
에서는 얼음 표면이 항상 물로 덮여 있다. 강헌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는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가 녹는 온도에 다다르기 전부터 표면이 액체의 성질을 띠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큰 눈덩이 위에 작은 ... ...
탐나는 멋진 점퍼, 북극곰 뇌에는 ‘극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점퍼가 청소년들
사이
에서 큰 인기를 끌었지요?그런데 이런 점퍼에 포함된 화학성분이 북극곰의 뇌에 무서운 영향을 끼칠 수도 있대요.캐나다 칼턴대학교와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의 공동 연구팀은 그린란드에 사는 북극곰 뇌에서 유해 화학물질과 발암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특히 ...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사이
가 연결돼 있었다고 해도 몸집이 작고 이동하는 거리도 좁은 너구리들이 두 땅
사이
를 오가기는 힘들었지요. 그래서 일본 너구리는 지리적, 유전적으로 홀로 뚝 떨어져서 진화한 거랍니다.음, 어쨌든 ‘지금’ 한반도는 얼음도 없고 시원한 상태라는 거지? 나 계속 여기서 살래.얼음이 없어도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구름 속 전기가 땅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길을 만드는 거죠. 전선을 따라 구름과 땅
사이
에 전류가 흐르면서 번개가 생긴답니다. 번개연구실험실에서는 번개가 치는 순간을 1초당 1만 장 이상으로 찍을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번개에 대해 자세히 연구하고 있어요. 샤샤샥, 번개를 ...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우리 번개는 공기 중의 전하 때문에 구름과 구름, 구름과 땅
사이
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야. 우리는 뾰족한 곳으로 모이는 걸 좋아해. 그래서 번개가 땅으로 내리치는 ‘낙뢰’는 피뢰침이나 나무 같이 높고 뾰족하게 솟은 곳으로 끌리게 된다네. 휴대전화를 쓰다 낙뢰를 맞은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