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01
- 투입해 일시적으로 겨울잠과 같은 상태(가동면)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013년 9월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원래 겨울잠을 자지 않는 쥐를 인공적으로 겨울잠에 빠뜨릴 수 있었던 이유는, 쥐에게 잠자고 있는 겨울잠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튜폰 교수는 “겨울잠 능력을 에어컨이라고 보면 ... ...
- 목소리는 알고 있다 당신의 키를과학동아 l201401
- 키 순서를 정확하게 맞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폐에서 성문(성대의 두 막 사이의 공간)에 이르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후두에서 나오는 소리가 다른데, 이 구간의 길이는 키와 관련이 많다”고 말했다. 마치 길이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는 관악기처럼, 목소리도 키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는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01
- 2005년에야 비로소 밝혀졌다. 독일 함부르크대 크리스티안 뷔셸 교수팀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다. 연구팀은 각 중독에 빠진 사람의 뇌를 fMRI로 촬영해, 복측선조체가 일반인에 비해 덜 활성화가 된다고 발표했다.그러나 도박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이 무엇인지, 이 물질에 ... ...
- 말 VS 당나귀어린이과학동아 l201401
- + 노새암말과 당나귀 수컷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를 노새라고 해요. 서로 다른 종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으로, 새끼를 낳을 수 없지요. 크기는 말처럼 크지만, 생김새나 특징은 당나귀랑 더 닮았답니다. 당나귀처럼 몸이 튼튼해 아무거나 잘 먹고, 어떤 환경에도 잘 적응하지요. 당나귀당나귀도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01
- 세메르치디스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장은 “질량이 1~1000μeV 사이일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가벼운 입자인 전자중성미자(2.2eV)보다 2000~200만 분의 1 가벼운 수준이다.문제는 입자의 세계에서는 이렇게 가벼우면 움직이는 속도가 매우 빨라야 한다는 점이다.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01
- 가장 직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었다. 결정에 X선을 투과하면 결정을 이루는 입자 사이로 X선이 통과하면서 회절이 일어난다. 결정을 통과한 X선이 만드는 회절 무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거꾸로 입자가 있는 위치를 알 수 있다.회절무늬를 얻는 것은 쉬웠지만 무늬를 통해 결정의 3차원 ...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01
- 기반한 맞춤의학입니다. 환자의 유전자와 질병의 발현, 특정 약에 일으키는 반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 다음 이 정보를 토대로 맞춤의학을 실현하려는 목표로 저도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Q. 맞춤의학에 컴퓨터공학이 필요한가요?A. 물론이죠.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컴퓨터공학자가 꼭 필요합니다.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01
- 웅장한 보리수 그늘에서 몇 분 기다리자, 약속대로 디시 여사가 물뿌리개를 들고 울타리 사이로 튀어 나왔다. 일주일에 한 번은 조부모 묘지 주위의 꽃밭을 가다듬고 간다고 한다.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터전을 다른 이와 쉽게 공유하기도 한다. 그 덕에 수학자는 다른 사람의 고향을 엿보면서 조금씩 ... ...
- [현장취재➋] 수학동아 레고카페, 레고와 수학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401
- 바퀴의 회전 각도는 얼마로 설정해야 할까요?”두 명이 한 조를 이룬 독자들은 처음 만난 사이인데도 불구하고 수줍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나누며 해결 방법을 찾았다. 그리고 5분 남짓 시간이 흐르자, 이곳저곳에서 문제를 풀었다는 환호성이 들려왔다. 문제를 푼 독자들에게 물어보니,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01
- 대안이론이다. 초대칭성은 스핀이 반정수(1/2, 3/2,…)인 입자와 정수(0, 1, 2, …)인 입자 사이의 대칭성이다. 우리 우주에 초대칭성이 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입자들(즉 표준모형의 입자들)은 자신과 스핀이 1/2만큼 차이가 나는 짝(초짝)을 하나씩 갖고 있다. 아직까지 이런 입자들을 발견하지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