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1,255건 검색되었습니다.
풍부한 의사소통 위해… 인류, 코 빼고 얼굴 돌출부 다 버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이어진다. 현생인류(왼쪽)의 두
개
골과 약 11만 년 전 살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의 두
개
골을 비교했다. 현생인류가 더 부드럽고 머리 크기도 크다. 사진제공 요크대 이런 형태는 약 350만∼250만 년 전에 살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다가 250만∼200만 년 전에 등장한 우리의 ... ...
한반도 폭염 예측 정확도 높일 단서는 ‘캄차카 블로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한반도 폭염 예측 정확도를 높이려면 캄차카 지역 블로킹을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동아일보 DB 여름철 한반도 폭 ...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예측 정확도가 낮은 원인을 파악해 폭염 예측 성능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핏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정확도 최대 90%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샘플을 두
개
준비한다. 그림에서 빨간 덩어리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다. 정상인은
개
수가 많지 않지만,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응집돼 덩어리 상태로 많이 들어 있다. ③ 샘플 중 하나(B)에만 EPPS를 넣는다. ④ B에 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덩어리가 풀어졌다. 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 ...
공공 분야 무인이동체
개
발사업 공모
개
시…총 418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운영 기술
개
발’엔 각각 17억원씩 투입되며 산불, 항만, 우편물에 쓰일 무인 이동체를
개
발하는 사업이다. 나머지 62억원은 2021년 추가로 3
개
분야 사업을 선정해 지원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산업계에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조성하고 공공기관 ... ...
엑스레이·CT 등 방사선발생장치 허가 행정부담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범위 내에서 변경허가 없이 자유롭게 생산·판매할 수 있게 된다”며 “추가 제도
개
선사항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 ... ...
"한국 여아 100명당 남아 106.4명이 자연상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알케마 교수는 “출생성비가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높고 다른 국가에서도 증가할
개
연성이 높다”며 “국가별 자연 성비를 적용해 산아 정책을 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세계 국가의 출생성비를 지도에 나타냈다. 빨간 원은 적게 태어난 여성의 수로 한국은 약 15만 5000명이 적게 ... ...
[의학게시판] '건강한 심장으로 100세 살기' 시민강좌
개
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중앙대병원이 23일 오후 1시 30분부터 병원 중앙관 4층 송봉홀에서 ‘조울병 건강강좌’를
개
최한다. 조울증으로 알려진 양극성 장애는 과하게 기분이 들뜨는 조증과 가라앉는 우울증의 감정상태가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질환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번 강좌는 우울증과 조울병을 전문으로 ... ...
'과학은 예술로 통한다'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빅뱅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과학자의 마음을 꽃밭으로 표현했다. CMS의 얼굴들 IBS 제공 지난 25년 동안 CMS에는 50
개
국 200
개
대학에서 1만1000명이 넘는 인재가 모여들었다. 열정적이며 창의적인 사람들이 성별과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공동의 목표를 위해 팀을 이루고 있다. 작품 속 얼굴들을 보라, CMS라는 하나의 공통된 팀을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
개
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KAIST는 “23일 열리는 행사장에서는 우수 연구성과 10선이 동영상을 통해 시연, 소
개
될 예정”이라며 “시상식 후에는 연구자들 간 교류시간도 준비돼 있어 교수와 학생 등 KAIST 구성원은 물론 시민들도 누구든지 참여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 ...
두
개
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두
개
이상 발견한 곳이다. 만약 이 행성계의 행성에서 살고 있다면 날마다 태양이 두
개
뜨는 셈이다. 제롬 오로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최근 이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라 이름 붙이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문학저널' 16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1323
1324
1325
1326
1327
1328
1329
1330
1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