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설탕은 재료비가 저렴하고 나노
입자
를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아이티처럼 콜레라가 확산되고 있는 지역에서 콜레라에 오염된 물을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0 이하가 된다. 처럼 U자관 모양의 관에 물을 넣고 가운데 반투과성막(용질
입자
는 통과할 수 없고, 물분자만 이동이 가능한 작은 구멍을 가진 막)을 설치한 경우 오른쪽에 0.1M의 설탕을 녹이면 용질 포텐셜은 -0.23MPa이 돼 물분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0.23MPa에 해당하는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직달복사와 반사 또는 산란하는 산란복사가 있다. 이 중 성층권에 햇빛을 가리는
입자
들을 뿌리면 직달복사량이 크게 줄어든다. 이 효과가 식물을 비롯한 생물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5 계속된 산 침적만일 황산을 오존층에 뿌리면 지구 어느 곳에서는 산성이 강한 비가 내릴 것이다.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얼면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한다.]온도와 구제역바이러스의 생존기간구제역바이러스
입자
가 떠돌아다닐 때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기간은 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한여름에 해당하는 37℃에서는 하루면 죽지만 올해 같은 추위에는 사실상 겨울 내내 살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장 바깥층까지 닿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플라스마는 이온핵과 자유전자로 이뤄진
입자
구름으로 흑점 개수가 늘어날수록 방출되는 양이 많아진다. 즉 플라스마가 코로나를 데워 태양에서 멀리 퍼져 있더라도 표면보다 뜨거운 셈이다. 태양 바깥층의 온도 변화 원인이 확실히 증명된 것은 이번이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각각 100%와 30%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전자중성미자와 뮤온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는
입자
물리학계의 최대 관심사다. 프랑스의 중성미자검출기인 ‘슈(Chooz)’를 이용해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15% 이하라는 사실만 확인했다. 현재 마지막 남은 변환상수를 측정하기 위한 국제 경쟁이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유지하는 것처럼 떡에 설탕을많이 넣으면 부드러움이 오래간다. 아밀라아제는 전분
입자
들을 뭉치게 하는 수소결합을 끊어 노화를 늦춘다. 그러나 이런 떡은 2~3일이 지나면 맛과 질이 떨어진다. 화학 첨가물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다.1급 비밀은 떡방아 찧듯 두들기는 기계 ‘굳지 않는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상태다. 이에 따르면 보존은 극저온에서 가장 안정한 상태가 돼 서로 겹쳐지면서 개별
입자
가 파동처럼 한꺼번에 움직인다. 이런 상태가 BEC다. 초유체는 보존인 액체헬륨이 BEC가 돼 점성이 사라진 결과고, 초전도체는 보존인 전자쌍이 BEC가 되면서 전기 저항이 사라진 결과다. 초전도체 전자쌍의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접어 캡슐을 만들고 그 안에 유전정보를 넣는 것을 흉내 내 체내에서 약물이나 나노
입자
를 운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단백질보다 더 작은 분자를 접기도 한다. 2010년 6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와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의 연구팀은 단일가닥으로 합성한 DNA를 접어 두 가닥으로 꼬인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세균은 너무 작은 몸을 일정한 곳에 지지하기 위해 끈적끈적한 액을 만든다. 이 액은 흙
입자
를 뭉치게 한다. 흙이 덩어리로 뭉치면 물과 가용성 양분을 붙들 수 있다. 벌레와 두더지 같은 동물들은 땅속에 구멍을 판다. 이때 흙속에는 땅굴이 생긴다. 이곳으로 공기와 물이 흙에 스며들고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