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7년에 걸친 관측 끝에 완성한 우주배경복사지도. 온도에 따라 색을 달리했다. 배경복사가 이렇게 균등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암흑물질의 존재가 꼽히고 있다.]19 ... 어둠의
입자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잇달아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96쪽 기사 참조).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
물리연구소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다국적 연구팀 ‘다마(DAMA)’는 1996년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을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측정기구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7년간의 실험 끝에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자기장이 형성돼
입자
의 이동궤적을 크게 휘게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우주선
입자
의 실체를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폴 디랙은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연설에서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세상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 뒤 주류 물리학은 우주가 물질로 이뤄져 있다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수 있다.홍수가 일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울 때 유량과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대규모
입자
영상속도계(LSPIV)의 개발도 김 박사팀이 이룬 성과다. LSPIV는 하천을 촬영한 뒤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물 표면의 속도를 측정해 유량을 계산하는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 등에 뒤이어 2005년부터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세 번째 방해 요인은 ‘태양풍(태양 복사압)’으로, 태양이 내뿜는 여러 가지 미세
입자
가 인공위성의 몸체나 태양전지판에 부딪쳐 밀어내는 힘이다. 인공위성의 궤도가 높을수록, 즉 지구 표면에서 멀수록 더욱 세게 작용한다. 네 번째는 지구 대기와 마찰력이다. 인공위성 기술자들은 대체로 고도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풍경은 흡사 달의 표면과 비슷하다. 그래서 이름도 ‘달의 계곡’이다. 잘게 부서진 모래
입자
는 곱지만 뾰족해서 디디기가 무척 힘들었다. 햇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것은 보석이 아닌 소금 덩어리. 사막 위를 걷고 있으면 소금이 ‘사각’거리며 깨지는 소리가 들린다. 아타카마 사막은 소금과 ... ...
태양이 폭발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난 2006년에 이어 5년 만에 발생한 대규모 폭발이랍니다.태양폭발로 생긴 태양 플라즈마
입자
는 초속 900㎞의 속도로날아와 72시간 만인 2월 17일에 지구에 도달했어요. 지구의 자기장과 대기가 태양에서 날아오는 물질을 막아 주기는 하지만 , 이렇게 대규모의 폭발이 일어나면 모든 플라즈마를 막지 ... ...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연구교수는 “물리학의 기본 힘은 게이지
입자
를 매개로 하는데, 이게 새로운 게이지
입자
라면 새로운 힘도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물리학계에는 아직 두고 봐야 한다는 반응이 많다. 만약 사실이라면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하는 대단한 발견이지만, 단지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에너지를 아주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말했다. 제올라이트 촉매로 나프타 분해“어이쿠!”“촉매가 바닥에 좀 떨어졌네요.
입자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 정도 밖에 안 되지만 공 형태라 미끄럽습니다. 조심하세요.”대전 한국화학연구원 그린(녹색)화학연구단 박용기 박사의 안내로 새로운 나프타분해공정 파일럿플랜트를 둘러보던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요오드-131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본다(B).한편 붕괴 과정에서는 강한 에너지를 지닌
입자
또는 전자파가 방출되는데 이것이 ‘방사선’이다.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이 ‘방사능’이다. 핵종에 따라 방사능은 모두 다르며, 방사선 역시 붕괴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각각의 방사선이 미치는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