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있어 5-10년후 석유 수급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부 수소에너지개발
사업
단 김종원 단장도 “2014년부터 원유의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 안에 진짜 ‘석유대란’ 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해외에서 직접 생산한 석유 4% 그쳐석유 대란을 피할 수 있는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국내 핵융합 프로젝트인 K스타 덕분이다.K스타는 1995년 12월부터 국가핵융합 연구개발
사업
차원에서 개발되고 있는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다. 크기가 ITER의 1/3정도로, ITER처럼 전부 초전도체 전자석을 세계 최초로 사용한다. 세계 유일의 중형급 초전도 핵융합 장치로서 ITER의 축소판인 것이다. 그래서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제치고 선두를 차지한 것. 에어버스는 1970년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영국이 항공우주
사업
을 합친 후 2001년 단일 기업으로 탈바꿈한 다국적기업이다. 창사 이래 88년간 전세계 항공기 산업의 1위 자리를 놓쳐본 적이 없던 보잉으로서는 충격이었다.보잉의 최대라이벌 등장의 예고편은 여기서 끝이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천연가스의 저장기술을 개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구도 가장 앞서 있다. 현재 수소
사업
단 내에서는 앞으로 개발될 수소차량에 탑재할 7백 기압 용기 개발이 한창이다. 한단계 높은 방식으로 수소저장화합물을 이용해 더욱 압축 저장하는 방법도 현재 연구 중이다.수소한국 시대 언제쯤이런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되면 자연지형뿐 아니라 건물의 배치와 지역의 개발현황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도시개발
사업
이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바람길 조성으로 대기오염 확산으로 대기오염에 의한 시민건강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마디로 서울의 도시계획은 과거에 비해 환골탈태하는 것이다.그렇다면 바람길을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렇게 많을진대 전봇대들을 연결하고 있는 전선은 얼마나 될까.우리나라에서 전기
사업
을 총괄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2003년 6월까지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전선의 길이는 지상 37만2천8백96km, 지하 2만2천99km로 모두 합쳐 총 39만4천9백95km다. 이 정도 길이의 전선이면 지구를 9.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노동에 5달러 임금을 제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포드사의 주주들을 비롯해 동료
사업
가들은 포드의 이런 제안을 미친 짓으로 치부했다. 하루 9시간 노동에 2.38달러를 지급했던 관행을 생각하면 당연했다.하지만 포드는 주변의 얘기에 개의치 않았다. 그는 노동자들이 만족할만한 임금을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과학자들이 방문 강연하는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
을 진행하고 있다. 이 번호에서는 안산 시곡중을 찾은 박윤제 대한제당 수석연구원의 강연을 소개한다. 생명체에는 동물과 식물을 비롯해 보이지 않는 세균과 바이러스, 곰팡이 같은 많은 미생물도 ... ...
유골로 다이아몬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비용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라이프젬에 이어 최근 스위스의 알고르단자라는 회사가 이
사업
에 뛰어들었다. 알고르단자 사는 가공 시간에 따라 최대 1.5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으며 하루 2백여통의 문의 전화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뇌하지만 생각하는 로봇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KAIST 뇌과학연구개발
사업
단장인 이수영 교수는 “똑똑하지 않은 로봇은 미래에는 불필요하다”고 말한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풀어야 할 ‘로봇 딜레마’ 다. 그는 “로봇이 스스로 무엇이 부족한지 알고, 이를 질문한 후 자신의 약점을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