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39년에는 황금쌀이 보급돼 빈곤국이 기아를 퇴치할 것으로 예상했다.과학기술부 자생식물
사업
단 정혁 단장은 “식물 안에는 질병 치료 뿐만 아니라 성기능 강화, 노화 개선 등 삶을 윤택하게 하는 자원들이 무궁무진하게 들어 있다”면서 앞으로 식물공장이 참살이 시대의 대표 기술이 될 것으로 ... ...
초고강도 바리캉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강하고 쉽게 녹슬지 않는 면도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
사업
단은 최근 양성자가속장치를 이용해 강도를 높인 초고강도 면도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새로 개발된 면도날 제작기술은 빠른 속도로 가속된 양이온을 날표면에 충돌시켜 내부 구조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나노 구조 연구에 탄력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연구단 박경배 단장은 “이번 냉중성자
사업
은 하나로가 동북아 지역의 핵심 중성자 산란연구센터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연구단은 오는 4월11일부터 13일까지 지난 10년간 하나로의 성공적인 운영과 이용을 기념하는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유전자 조작 포플러를 이용해 미국 코네티컷주의 덴버리 지역 폐금광의 수은을 정화하는
사업
도 진행 중이다. 시간 오래 걸리는 것이 흠식물 처방전에도 약점은 있다. 식물이 자라서 정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 짧아야 몇 달이고 길게는 몇 년까지 필요하다.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상대적으로 ‘늙은 숲’이다. 그러나 한국 숲은 1960년대부터 이뤄진 대규모 숲 조성
사업
으로 만들어져 ‘젊은 숲’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무가 성장하면서 영양분으로 쓰인 이산화탄소는 줄기마다 켜켜이 쌓인다. 젊은 숲은 계속 성장해야 돼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한번 흡수한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총액만도 1조2900억원. 각
사업
자는 배정받은 30MHz당 3900억원을 지불한 셈이다. 따라서
사업
자들에게 떨어지는 수익은 그 이상이라는 얘기다. 이를 전세계로 확대해 계산하면 천문학적 액수가 나온다.이 때문에 전파는 오래전부터 공동 관리 대상 목록 1호로 올라있다. 전파도 아껴쓴다1934년 출범한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AT&T 벨연구소 연구원1991년~현재 서울대학교 물리학부 교수1997년~현재 창의적 연구진흥
사업
단장나노가 펼치는 멋진 신세계나노 기술이 쓰이는 분야는 정말 다양해요. 크기는 작아지지만 반대로 기억 용량은 커지는 차세대 반도체와 전지의 개발, 인체의 모세혈관 속을 잠수함처럼 돌아다니며 질병을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얘기다.세 회사는 신규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유선 서비스
사업
자였던 KT나 하나로텔레콤은 무선시장 진입의 기회로, SK텔레콤은 4세대 이동통신으로 가는 중간다리로 와이브로를 보고 있다.물론 휴대인터넷이란 개념은 한국만의 독자적 발상이 아니다. 지금도 유럽 각국은 ... ...
물 위 나는 대형 위그선 2009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
사업
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뒤 올해 하반기부터 2009년까지 모두 1200억 원의
사업
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위그선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 안전연구소가 10여년 간 연구해온 미래형 선박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싱가포르 유럽 등에서 제조기술 특허까지 받았다.해양부는 위그선이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염분제거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한 8년 이상 더 기다려야 한다.결국 새만금간척
사업
으로 얻은 논에서 제대로 농사를 지으려면 2020년이나 돼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또 새만금에 형성될 논은 다른 간척지의 논과 달리 바다 밑 논이기 때문에 이 땅의 용도를 변경해 산업단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