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즐기고 체험하는 온라인 수학 축제, 폴리매스데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10, 9, 8, 7, 6, 5, 4, 3, 2, 1, 0! 제3회 온라인 폴리매스데이를 시작합니다!”2020년 8월 8~9일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는 ‘폴리매스 올림피아드(PMO)’, ‘폴리매스 코드챔피언십(PMCC)’, ‘매스펀 출제 이벤트’, ‘수학 끝말잇기’ 등 다채로운 이벤트가 펼쳐졌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걸 수학동아 폴리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남극 대륙을 뒤덮은 얼음은 지금 이 순간에도 변화하고 있다. 바다와 맞닿은 부분에서는 얼음이 떨어져 나가고 있고, 표면에서는 얼음이 갈라져 수십m의 절벽이 생긴다. 이런 위험한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구는 역시 인공위성이다. 현장 연구자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극한의 남극을 가장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K팝이 세계적 인기를 얻은 비결로는 단연 화려하고 절도 있는 ‘칼군무’가 꼽힌다. 손끝 동작까지 맞춘 아이돌의 빈틈없는 춤을 보고 있자면 절로 탄성이 나온다. 그런데 이런 한국 아이돌의 칼군무를 코딩으로 분석한 유튜버가 있다. ‘techie_ray’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호주의 레이 선(Ray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대학은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구성원끼리 교류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들이 졸업한 뒤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줘야 한다. 즉, 학생의 커리어 지원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캘리포니아공대는 이를 위해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특이점(singularity)’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죠? 좀 더 정확히는 기술적 특이점을 말합니다. 인공지능이 폭발적으로 발달해 우리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는 초지능이 탄생하는 시점을 특이점이라고 부릅니다. 특이점이 온다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변하게 됩니다. 과연 그런 세상 ... ...
- [이달의 과학사]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미술과 과학. 멀게만 느껴지는 두 분야지만, 미술 재능을 살려 훌륭한 연구를 이뤄낸 과학자가 있었답니다. 1852년 5월 1일 태어난 스페인의 생물학자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이에요.신경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지금이야 MRI나 단층 촬영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하지만, 19세기 말까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요즘 집에서 운동하는 홈트레이닝(이하 홈트)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한다는 핑계로 앉아서 먹기만 하고, 코로나19 핑계로 운동도 안 하다가 결국 10kg 가까이 쪄버린 저 역시 홈트에 관심이 많아요. 그런데 자세가 중요한 근력 운동을 혼자 영상만 보고 따라하면 동작이 바른지 ...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극강의 검은색’이라는 뜻을 가진 울트라블랙(ultra-black)은 엄밀한 과학적 정의는 아니지만 보통 빛 반사율이 0.5% 이하인 검은색을 일컫는다. 블랙홀이 들어온 빛의 100%를 흡수한다면, 울트라블랙은 들어온 빛의 99.5% 이상을 흡수한다. 흥미롭게도 지구상의 생명체 중에도 자연적으로 이런 울트라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번 긱블의 메이킹 이야기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 겁니다. 탱크를 만든지라 할 얘기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이죠. 꽉 잡고 잘 따라오세요! 골격부터 탄소강으로 무게감 있게 이번 작품은 긱블이 준비한 네 번째 빅 프로젝트입니다. 작년부터 긱블은 3개월에 한 번씩 제작비와 시간이 많이 드는 빅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2009년 8월 나로호 1차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뒤, 다음 발사를 준비하는 약 10개월은 기나긴 인고의 시간이었다. 연구원들은 주말도 자진 반납하고 발사 실패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과 분석에 매달렸다. 나로호 발사는 오랫동안 준비한 국가사업으로서도 중요했지만, 연구원들의 자존심이 걸린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