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백악관은 미국의 대통령 관저로 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와 같은 곳이에요. 2020년 11월 3일은 백악관의 주인을 새롭게 결정하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 날인데요, 과연 백악관에 입주하게 될 사람은 누구일까요? 궁금증을 한가득 가지고 백악관을 만들어봅시다. ※ 편집자 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내 업적과 성과는 미래에서 평가받을 것이다."현재 우리는 어디서나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선 없이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모두 위대한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가 생각하고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그의 노고가 현실화돼 우리가 더 편리한 삶을 누리고 있습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오늘 소개할 티모시 가워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는 수학동아와 관련이 깊습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수학자 사이에서 처음 시작한 인물이기 때문입니다.1963년 11월 20일에 태어난 가워스 교수는 1981년 국제 수학올림피아드에서 만점으로 금메달을 땄습니다. 그리고 ‘바나흐 공간에서의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우리 사회의 문제를 과학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하기 위해 디자인 싱킹 프로젝트 수행평가를 진행한다.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온실 기체 감축 장치를 만들어 보자. ❶ 교과 과정올여름 장마는 유례없이 길었습니다. 6월 24일 시작된 중부지방 장마가 54일이라는 역대 최장기간 기록을 세우며 ... ...
- [독일유학일기] 교육의 기회는 동등 학비 부담없는 독일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학 생활 중에는 어쩔 수 없이 돈이 절대적인 존재가 된다. 간혹 패기 넘치는 열정만으로 모든 생활비는 아르바이트로 해결하겠다는 ‘열정맨’이 있을지 모르나, 독일의 언어와 문화 모두에 익숙하지 않은 유학생에게는 비현실적인 이야기다. 꼭 써야 하는 생활비에서 더 아낄 방법을 찾는 게 빠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슬기롭고 안전한 전동 킥보드 생활 (30p)☞바로가기 요즘은 약속을 ‘킥세권(킥보드+역세권)’에서 잡는다고 하죠. 재밌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전동 킥보드 사용자는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연말부터는 만 13세 이상이면 누구나 전동 킥보드를 탈 수 있도록 법이 개정돼 사용자는 ...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클라우드는 한 마디로 빌려쓰는 서비스다. 클라우드 제공자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메모리,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IT자원을 빌려준다. 클라우드가 기술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구름 속을 들여다보자. 깊이가 다른 세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보통난이도 | 해양동물 부검 8월 20일 한국수산자원공단 제주본부, 비릿한 냄새가 가득한 실험실에서 특별한 부검이 진행됐다. 상괭이와 남방큰돌고래, 참돌고래, 바다거북…. 참돌고래를 제외한 모두가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된 종이다. 평생 자유롭게 바다를 누비던 녀석들이 어떻게 차가운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멧돼지 사령관의 노하우는 모두 맞지만 그런 방법으로 찾아서 어느 세월에 지뢰를 다 찾는단 말이람. 그래서 나는 멧돼지 사령관이 말한 전략들을 토대로 알고리듬을 만들어서 컴퓨터로 해결해봤어. 내가 만든 알고리듬은 먼저 게임판 정중앙의 칸을 선택해. 그리고 나온 숫자 중에서 1만 3개 있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김상현 교수는 미분동형사상군의 특이정칙성을 모든 실수 범위에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유한생성군을 발견해 위상수학의 난제를 해결했다.’ 2020년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이유를 본 기자는 8월 고등과학원에서 진행한 인터뷰 자리에서 첫 마디를 고백으로 시작할 수밖에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