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회복된다”며 “반면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비가역적으로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
기능
이 떨어지기 때문에 PTSD와 알츠하이머병은 구분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 씨 사건 재판부인 광주지방법원은 알츠하이머병은 재판 불출석 사유가 되지 않는다며 전 전 대통력의 참석 여부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참고로 활성산소가 단순히 세포에 해로운 노폐물이 아니라 신호전달물질로도
기능
할 수 있다는 사실은 20년 전인 1998년 미 국립보건원의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교수)와 동료들이 처음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중간물질로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길이 멀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후각수용체가 코뿐 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며 다양한
기능
을 한다는 사실은 ‘게놈이 후각수용체 유전자에 왜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는가?’라는 의아함을 상당 부분 누그러뜨렸다. 우리가 냄새로 지각하는 게 후각 정보의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숲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수 있게 된다. 머신러닝을 이용하면 효율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 방식의 장점은, 원하는
기능
을 먼저 구체적으로 정한 뒤에 그 성능을 낼 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다. 기존에는 반대로, 일단 새 재료를 발견 또는 개발한 뒤 추가 연구를 통해 그 특성을 알아 내고, 마지막으로 응용 방법을 찾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유전자는 살아 있었다. 잡식에서 초식으로 바뀐 판다의 경우 쓸모가 없어 위유전자가 돼
기능
을 잃은 것을 생각하면 뜻밖의 결과다. 코알라 게놈에는 생체이물 해독에 관여하는 효소인 CYP2C 유전자가 31개나 된다. 코알라 두 개체에서 신체장기에 따른 CYP2C 유전자 31개의 발현량을 나타낸 데이터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기존에 지니고 있는 유전자를 재활용해 용도를 변경하거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새로운
기능
을 지닌 유전자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예일대의 자카리 루이스와 캐이시 던은 같은 호에 실린 해설에서 “우리의 가장 가까운 친척에 대해서 뭔가를 알지 못하면 동물이 정말 얼마나 특별한지 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팔에서 척수로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신경섬유를 끊은 뒤 재활을 통해 팔이
기능
을 얼마나 회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11년 뒤 이 원숭이들을 안락사시키기로 하면서 연구팀은 뇌의 체감각 지도를 기록했다. 환상사지 현상은 체감각 지도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잃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꽃을 피울 수 있게 기여한 월계화 올드 블러시의 유전자는 KSN으로 꽃이 피는 걸 억제하는
기능
을 한다. 올드 블러시의 KSN 유전자에는 전이인자가 끼어 들어가 이 유전자가 고장 난 상태다. 그 결과 기온이 어느 정도 이상이면 주책맞게 계속 꽃을 피우는 것이다. 교배를 통해 올드 블러시의 고장난 KSN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
과학동아
l
2018.04.29
적정 저장기술을 구축하는 등 순차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고구마를 이용한
기능
성 건강식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가치 사업도 가능하다. 곽 책임연구원은 “255년 전 대마도를 통해 한반도로 들어온 고구마는 남한을 거쳐 북한까지 퍼졌다”며 “공동연구를 통해 북한의 식량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폐로 보내기 위해서”라는 생리적 관점의 설명이 있다. 그런데 코를 통한 들숨의 또 다른
기능
은 냄새를 맡는 것이다. 화학적 감각, 즉 넓은 의미의 후각은 박테리아를 비롯해 모든 생물이 지닌 원초적인 감각이다. 뇌의 전두엽에 있는 후각을 담당하는 후각망울 역시 구피질(paleocortex)로 불리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