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국가R&D사업 예타 조사체계 개편 공청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논의됐다. 또 신희순 식품연 선임연구원팀이 주도한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한 건강
기능
성 소재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패널 토론을 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시스템과 경험을 아시아와 아프리카 개도국과 공유하는 'KISTEP-국제과학기술혁신센터(ISTIC)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따라서 동시 비교는 아니다) 화면이 약간 뭉개져 보였다. UHD TV가 UHD 콘텐츠가 없어 제
기능
을 100% 발휘하지 못한다니 속이 좀 상했다. 신도시의 새 아파트에 입주하고 보니 도로나 학교 같은 인프라가 없을 때 심정이 이럴 것이다. IPTV 업체에서 UHD 영화를 공급한다지만 TV로 영화를 별로 보지 않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포자를 가리킬 뿐 이런 뜻은 없으므로 이하 ‘민들레 씨앗’으로 쓰겠다. 낙하산과
기능
은 같지만 한 세대 전 한국의 음악가들이 민들레 씨앗에 예술적 불멸성을 부여했다면 최근 영국의 과학자들은 민들레 씨앗을 연구해 물리학의 한 분야인 유체역학의 역사에 남을 발견을 했다. 영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피롤로퀴놀린 퀴논(pyrroloquinoline quinone, PQQ)로 역시 강력한 항산화제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을 높여 신경 보호, 인지력 개선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박테리아만 만들 수 있는 물질이지만 식물이 토양미생물이 만든 PQQ를 흡수한다. 따라서 인체 조직에 비해 채소와 과일에 5~1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는 토마토의 엽록소 생성에 관여한다. 잎에는 같은
기능
을 하는 GLK1 유전자가 발현돼 GLK2가 고장나도 별 영향이 없지만, GLK2만 발현되는 열매에서는 이게 고장 나면 엽록소의 양이 적어 열매가 자라는 동안 밝은 녹색을 띤다. 그 결과 광합성으로 만든 당분이나 그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있는 상태다. 그대로 빼내면 도로에 전해질 용액을 배출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역삼투압
기능
의 막으로 걸러서 순수한 물만 배출한다. 이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꼭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이 교수는 “수소차가 좀 뜬다고 무조건적인 수소차 육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예상대로 일주리듬은 그대로였지만 울트라디언 리듬은 사라졌다. 흥미롭게도 SPZ-PVN의
기능
가운데 하나가 SCN의 일주리듬 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울트라디언 리듬에서는 역할이 반대다. 실방핵(PVN)은 여러 뉴런으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신경분비뉴런은 옥시토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일으키고 그 결과 뉴런에서 항산화물질인 글루타치온이 고갈돼 산화스트레스로 세포가
기능
을 못하고 결국 죽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메커니즘은 BMAA가 리보솜에서 단백질(폴리펩티드)가 만들어질 때 아미노산 세린을 대신해 들어가면서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즉 운반RNA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만들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정상 FOXP2 단백질의 양이 절반이 될 경우 유독 언어 관련
기능
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말을 하는 게 그만큼 정교한 과정이라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유전자 쌍 모두 고장 난 사람은 없었다. 훗날 생쥐에서 관찰한 결과 이런 경우 태아발생과정에서 죽거나 태어난 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토대로 만든 분자가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에 있는 Kv1.3이라는 칼륨 통로 단백질의
기능
을 방해해 과잉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자가면역반응 환자의 T세포는 Kv1.3 통로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리브해에 사는 융단열말미잘은 바닷가재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