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아이 얼마나 클까...키 결정 유전자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연구에서 활용한 쥐의 연골조직. 위키미디어 제공 아이가 성장한 후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확인됐다. 주로 뼈 말단 연골세포에 존재하는 이 유전자는 아이가 성인이 된 후 키가 얼마나 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불안하란 법은 없다
2023.04.15
불안에 빠져드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렇게 “나만” 부족한 것 같다는 느낌은
우리
마음 속에 쉽게 침투하고 마음을 갉아먹는다. 따라서 불안하고 외로움, 내 존재의 연약함을 느낄 때일수록 나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애써 떠올릴 필요가 있다. 내가 모든 사람들에게 나의 연약함을 떠벌리지 ... ...
[잠깐과학] 58년 전 탄생 비닐봉지...환경 문제 해결 위해 개발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15
500년 정도 걸리거든요. 이에 곳곳에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하기 시작했어요.
우리
나라도 2022년 11월부터 편의점과 제과점 등에서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지요. 최근에는 비닐봉지의 편리함을 살리되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 소재의 비닐봉지도 개발됐습니다. 스텐 ... ...
우주에 도전한 사람들은 어떤 말을 남겼을까
과학동아
l
2023.04.15
대하고,
우리
가 아는 유일한 보금자리인 창백한 푸른 점을 소중히 보존하는 것이
우리
의 의무임을 강조해줍니다.” 보이저 1, 2호는 3월 13일 기준 지구로부터 각각 159AU(천문단위·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거리), 132AU 떨어진 우주를 항해하고 있다. 항해자(Voyager)라는 이름대로. ● 이 배는 ... ...
인공지능 기술 더해 더 선명해진 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4년 만에 해상도를 최대로 끌어올린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또다른 이정표를 세웠다”며 “
우리
가 개발한 새로운 기계학습 기술은 블랙홀 물리학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사라지고 있다”라는 뉴스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소식은 단순히 꿀벌이
우리
에게 선사하는 달콤한 꿀을 더 이상 먹지 못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넘어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다. 꿀벌은 꽃샘식물(밀원식물)로부터 먹이자원인 꽃가루와 꽃꿀을 얻고 대신 꽃가루를 다른 식물체로 ... ...
내장 장벽 보호하는 우유의 비결…간 염증도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결과가 나왔다. 내장 장벽은 영양분을 흡수하고 독소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우리
몸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 특히 체내에서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등 순기능을 가진 체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의 서식 환경을 윤택하게 만드는 것과도 연관됐다. 륀쥔 통 국립싱가포르대 교수 연구팀은 우유에서 ... ...
"비과학적인 탄소중립 정책...산업계 감축량 줄이기는 경쟁력 상실로 이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산업계 감축량을 줄이는 것은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잃게 하는 근시안적인 정책이라는 주장이다. 이어 "탄녹위는 국내 산업의 고탄소 산업구조 특성 때문에 더는 줄일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고탄소 산업구조이기 때문에 변화를 더욱 빠르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백신』, 『의학을 이끈 결정적 질문』, 『처음 만나는 소화의 세계』, 『의학사 ... ...
부품 고장 '광개토대왕함', 3D프린팅 기술로 하루만에 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위키피디아 제공 3200t급 광개토대왕함은 1998년 실전 배치된 제1호 한국형 구축함이다.
우리
해역을 수호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최근 광개토대왕함이 운용을 멈췄다. 엔진의 감속기 역할을 하는 디젤 엔진 클러치 잠금장치에 이물질이 끼면서 손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협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