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록
부가
게재
삽입
기입
보유
첨부
d라이브러리
"
추가
"(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뚱뚱하면 계속 뚱뚱해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비만인 독자들이 긴장해야 할 연구결과가 나왔다.에두아르도 닐니 미국 브라운대 내분비약학부 교수팀은 비만 상태가 뇌 속 호르몬 분비를 교란해 계속 비만 상 ...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아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해 비만 치료제를 만들기까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나왔다. 바닷속 산소는 고갈되고 해양생태계는 완전히 파괴되며 메탄과 이산화탄소는
추가
적으로 대기에 유입됐다. 결국 지구의 평균온도가 10℃정도 상승하여 전체 생물종의 95%가 멸종했다. 이 사례는 대규모 화산폭발이 지구환경 변화에 장기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실로 ‘상상 그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전체의 열수생태계는 11개의 생물구역으로 나눠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숫자는 미래에
추가
될 열수구 발견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수치로 보면 중앙해령 6만km 구간 중 탐사가 이루어진 구간은 약 20%밖에 안 된다. 더구나 탐사 지점 간에는 약 100 km의 간격(조사 미구간)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 ...
INTERVIEW 노벨상 수상자 하랄트 추어 하우젠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하지만 이후 그 존재가 증명되자 8회, 10회 등 다양한 대칭구조가 여러 금속 합금에서
추가
로 발견됐다. 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구조가 밝혀지면서 준결정을 활용한 다양한 합금 개발이 가능해졌다. 열과 전류를 잘 전달하는 결정질과 그렇지 않은 비결정질의 성질을 모두 갖는 준결정이니만큼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처음에는 3차원 세계의 존재를 믿지 못한다.구는 가로와 세로에 높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추가
하면 3차원이 됨을 설명하지만 2차원 평면세계에 익숙한 주인공은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구는 평면을 관통하면서 구의 단면인 원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비로소 정사각형은 구의 존재를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거리를 알 수 있는 영상과 소리 정도를 알려 주고 있어. 연구를 하면서 기능을 하나씩
추가
하는데, 앞으로 로봇 주변에서 나는 냄새 같이 다양한 환경정보를 모두 알 수 있게 할 거래. 로봇 기술의 핵심은 사람?역시 로봇은 대단해!이걸 보니 사람보다 로봇이 더 멋지고 좋은 것 같아.둘이 약간 ... ...
지구형 행성 3개 또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NASA)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사용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지구형 행성 3개를
추가
로 발견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보다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이중 2개는 지구로부터 1200광년 떨어진 항성 케플러 62 인근(거문고 자리)에서 발견된 케플러 62f와 6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작품이다.지금까지 스튜디오에서 음향을 만들 때는 현장에서 녹음한 음과 새롭게
추가
하는 음을 2차원적으로 배치하는 데 그쳤다. 자동차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지나간다면 현장에서 녹음한 소리를 바탕으로 왼쪽 스피커에서 소리를 크게 냈다가 점점 소리를 줄이고, 오른쪽 스피커를 키우는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관련된 유전자도 DNA 전역에 퍼져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그렇다면 30만 개의 염기서열을
추가
로 발견한 지금, 유전자를 분석하면 얼마나 정확하게 키를 예측할 수 있을까. 뜻밖에도 김 교수는 “인터넷에 떠도는 ‘내 아이 예상키 공식’보다도 부정확한 것이 현재 수준”이라고 말했다. 유전적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찾아냈다. 우주는 정말로 이론과 같은 미세한 온도차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추가
로, 코비는 그 과정에서 지금껏 인류 역사 이래 가장 완벽한 측정 결과 하나를 밝혀냈다.바로 우주배경복사가 이론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흑체복사라는 사실이다. 이로써 막스 플랑크의 흑체복사 이론은 우주에서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