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가"(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끼리로봇 코 구부리며 하는 말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코끼리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방향을 바꾸고 코를 재빨리 접게 만들 수도 있다.EV3에 새로 추가된 ‘자이로센서’는 물체가 회전할 때 회전 각도와 각속도를 계산한다. 자이로센서가 달린 ‘탱크봇’은 몸체가 회전하는 각도를 읽어 삼각형이나 육각형 같은 여러 경로를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다.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3단계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처리한다.뇌과학연구소는 처리 과정에서 2단계를더 추가해 훨씬 세밀하게 볼 수 있게 했다.이전까지 신경섬유를 5만 개 정도 볼 수 있었는데, 뇌과학연구소는 무려 600만 개를확인했다. 이렇게 자세히 보면 이전에 몰랐던 신경다발을 찾을 수 있다.뇌 사진 한 세트를 ... ...
- 뜨거워진 북극, 세계의 화약고 될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그 위에 설치한 파이프라인이 훼손되고 수송도로가 유실되는 등 추가 비용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셰일 가스, 오일샌드 등 비전통 석유자원도 북극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11년 비전통 석유는 전체 석유생산량의 4.6%에 불과했지만 20여년 뒤인 2035년에는 13.6 ... ...
- 전기료 폭탄 피하는 에너지 절약 비법 3 + α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원 납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월 전기 사용량이 19.6kWh에 월3167원 드는 김치 냉장고를추가로 구입했을 때 내야하는 전기 요금은 4만 4727원이 아니라 누진세가 적용되어 4만 9690원으로 약 5000원이 더 많다. 왜 적정 실내 온도는 28℃인가실내와 실외 온도가 5℃이상 차이나면 냉방병이나 감기 등 ... ...
- 유해화학물질 누출 현장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위험물안전관리법’ 외에도 ‘화학물질등 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 등을 추가로 만들어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에 힘을 더하고 있지만 아직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부족한 수준이래.서강대 화학과 이덕환 교수님은 “안전은 공짜로 얻어지는 게 아니다”라며 “생명존중 사상이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다.그런데 만약 어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지점에 있을 때 다른 반딧불이가 추가로 이동하다가 그 지점에 도착하면 그대로 멈춰야 한다. 이 상황은 한 번 더 빛을 내는 상황으로, 불빛 칸에 있지 않은 나머지 반딧불이는 규칙에 따라 현재 위치 번호만큼 한 번 더 이동한다. 그리고 한 칸에 두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추가해 신호를 나타내는 다섯 개 숫자의 합이 무조건 짝수가 되도록 ‘짝비트’를 추가했다. 따라서 1010은 10100이 되고, 1000은 10001이 된다. 혹시 전송돼 온 신호가 10101이라면, 이 신호는 숫자의 합이 홀수이므로 잘못된 신호임이 확실하다. 하지만 짝비트만으로는 몇 번째 자리에서 생긴 오류인지는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아이언맨이 탄생했다. 레이더에 걸리지 않고 침투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했다. 그런데 이번만은 예외다. 가장 강력한 적이 나타났는데 토니는 왜 3000℃를 견디는 재료로 슈트를 개량하지 않았을까.조창용 재료연구소 신금속연구본부 박사는 “그런 재료는 전 세계에 없고 앞으로 개발될 ... ...
- 내성균 리턴즈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조합해 쓸 수 있지만 치료성공률이 50%밖에 되지 않는다. XDR은 나머지 항생제까지 추가로 내성을 갖는 결핵균이다. XDR 균 중에는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다.결핵균, 내성으로 무장해 재습격하다결핵의 발생률은 높지만, 다행히 다제내성균에 의한 결핵 비율은 아직 낮은 편이다.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일어났다. 수차례 분화 끝에 완만한 화산체 위에 지름 20~30km, 높이 600m 정도의 성층화산추가 만들어졌다.약 4000년 전과 1000년 전에 폭발적인 대분화로 백두산 성층화산의 꼭대기가 파괴됐다. 이 때 분출한 마그마는 무려 에 달했다. 마그마가 빠져나간 빈자리는 무너져 내려 지름 5km의 칼데라가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