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료"(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토에세이] 집 속에 집을 짓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한창인 컴퓨터 화면만 보면 보통의 건축가 같다. 그러나 막상 집을 짓는 현장에서 쓰이는 재료는 속이 비칠 정도로 얇은 천뿐이다. 이 집은 바로 서도호 작가가 세운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이다. 작가가 미국 유학 초기에 묵었던 3층 아파트 속에 어린 시절에 살았던 성북동 전통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친구들에게 선물해도 좋겠지? 뭐? 나에게 선물하겠다고? 허허허. Danke$^{[당케]}$ 고마워!재료냄비, 컵, 물 한 컵, 설탕 세 컵, 나무젓가락, 집게※ 나무젓가락 대신에 털실이나, 물에 녹지 않는 음식을 이용해도 돼요. 딸기를 이용하면 설탕 결정이 덮인 예쁜 딸기를 만들 수도 있답니다 ... ...
- 인류가 토끼와 비슷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어디에 해당할까요? 프랑스 해양개발연구소에서 지난 50여 년 동안의 세계 176개국의 식재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세계인의 영양단계 평균값은 2.23이었어요. 육식동물보다 초식동물에 훨씬 가깝다는 이야기지요. 이 값은 50년 전보다 0.06 높은데,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인의 영양단계는 무려 0.17이나 ... ...
- 열무김치 VS 총각김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일반적인 김치를 담그는 경우가 많지만 겨울에 먹는 물김치인 ‘동치미’의 재료로도 사용하지요. 총각김치는 무청이 달린 채로 담그기 때문에, 연하고 아삭한 무청과 단단한 무를 한꺼번에 맛 볼 수 있답니다. 총각무의 다른 이름인 ‘알타리무’를 따라 ‘알타리(무)김치’라고 부르기도 해요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자라나고 있다지. 별이 폭발하면서 나온 수소, 헬륨, 탄소, 산소 등은 새로운 별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하지만 생물을 만드는 데도 쓰이거든.외계인을 만나면 인사를참, 외계생명체가 궁금하다고 했지? 내게는 동그란 판이 하나 실려 있어. 녹이 슬지 않고 안정된 물질인 금으로 만든 이 판 에는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정말 렌즈를 꽉 눌러 압축한 것은 아니에요. 얇아도 빛이 많이 휘는 굴절률이 높은 재료를 써서 만든 ‘고굴절렌즈’를 압축렌즈라고 한답니다.Mission 3-2 근시를 교정하라! 콘택트렌즈안경을 쓰면 눈이 작아 보여서 예쁘지가 않다고? 운동을 할 때 안경이 자꾸 흘러내려서 불편하다고? 근시를 교정할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한 기업에서 음식 재료를 모두 가루로 만들어 인쇄하는 3D프린터를 개발하고 있어요. 식재료는 습기를 빼고 가루로 만들면 상온에서 30년이 지나도 썩거나 변하지 않아요. 15년 이상 먹을 수 있는 장거리 우주여행용 음식에 적합하는 뜻이지요.수술 돕고, 약도 만드는 3D프린터지난 5월 미국 ... ...
- 정자(精子) 추적, 나노입자에게 맡겨봐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꼽히지만 그 동안 기술이 없어서 연구하지 못했던 정자의 움직임을, 새로운 나노 입자 재료를 이용해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옥스퍼드대 의대 산부인과 나탈리아 바칼리나 교수팀은 정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추적이 손쉬운 새로운 나노 입자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실제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든 직류 전기는 전압을 쉽게 바꿀 수 없었다. 대신 전선을 굵게 만들면 되지만, 전선 재료인 구리가 너무 비쌌다.그 무렵 유럽에서 탄생한 교류는 직류와 달리 전압을 쉽게 바꿀 수 있었다. 전압을 높여서 먼 거리를 손실 없이 배달한 뒤, 다시 전압을 낮춰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다. 교류 변압기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들고 나눈다’라는 김장의 기본 취지는 변하지 않았다. 없으면 없는대로, 새로운 재료가 들어오면 수백 년간 누적된 경험을 응용해 새로운 김치와 문화를 만들어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김장, 글로벌하게 절이고 과학으로 버무리다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PART2 물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