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직전부터 내리기 시작한 직후까지 나는 흙냄새는 세계 어디서나 맡을 수 있어요. 19세기에 나온 오래된 광물책에도 비 냄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을 만큼, 오랫동안 알려진 현상이지요. 하지만 왜 비 냄새가 나는지는 한참 동안 아무도 몰랐답니다. 1960년대에 들어선 후에야 비 냄새에 대한 과학적인 ...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남극 반도의 끝자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바람 세기에 따라 체감온도는 더 낮을 수 있죠. 얼마 전 눈보라가 치던 날은 기온이 영하 12℃ 정도였지만, 바람이 불어서 체감온도가 영하 25℃까지 떨어지기도 했답니다.이도연 : 주로 어떤 음식을 드시나요?보통 ...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구 모양이라고 믿기 시작한건 훨씬 나중의 일이었다. 극지방과 일부 대륙의 중 심부는 19세기까지 지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남극과 북극을 포함한 모든 지역을 지도로 그리기 전까지는 지구가 구 모양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지구가 토러스 모양일 수도 있어서다.직사각형의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이대로라면 21세기는 테러의 시대가 될지도 모른다. 특히 테러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개인과 공동체의 정신을 서서히 파괴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테러와 그로 인한 PTSD로부터 우리 모두를 ...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억 년에 걸쳐 생명체가 진화해온 과정을 담은 증거이기도 하다.➌ 파도바이오과학상(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이사장상) 중·고등학생부김수아(충북 산남고) 전자현미경해변의 모래사장으로 거친 파도가 몰려오고 있다. 밤 껍질 앞면의 매끄러운 부분과 거친 부분의 경계부분을 확대해 찍은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Magnetic flux)이라고 부르는 양이 있다. 보통 그리스 문자Φ로 적는데, 면적이 Ѕ인 영역을 세기가 В인 자기장이 통과할 때, 자기다발은 두 값을 곱한 양(Φ=ВЅ)으로 정의한다. 고전역학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면적과 자기장이 모두 연속적인 값이므로 그 둘을 곱한 자기다발도 당연히 연속적인 값을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최초로 익룡 화석이 발견된 것은 18세기 중반, 독일에서다. 독일 남부의 졸른호펜 지방에는 석회암층이 넓게 분포해 있다. 이곳의 석회암은 우리나라의 강원도에서 볼 수 있는 까맣고 단단한 석회암과는 다르다. 푸르스름한 회색을 띠는데, 공기와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공기가 들어 있고요. 이 로봇은 피부로 압력을 느낍니다. 일반적인 로봇들은 힘의 세기를 잘 조절하지 못해서 컵을 깨트리거나, 악수하려는 사람의 손을 으스러뜨리려고 하죠. 하지만 이 로봇은 피부로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세다고 측정되면 스스로 힘을 줄일 줄 압니다. ‘압력 피드백 컨트롤’ ... ...
- 물대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경찰에는 살수차 운영지침이 있습니다. 그중 살수세기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면, 시위대와의 거리가 10m 이내일 경우에는 3bar, 15m는 5bar, 20m는 7bar 내외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1bar는 1cm2 면적을 1kg으로 누르는 압력입니다. 손바닥 넓이가 64cm2 정도라고 가정하면, 손바닥 위에 2L ... ...
- 미국에서 가장 귀한 새를 수배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 책은 미국 남부 저지대의 울창한 숲을 주름잡았던 ‘흰부리딱따구리’가 불과 한 세기 만에 사라져 버린 멸종의 역사를 되짚는다. 아울러 이 새를 손에 넣으려고 안절부절못했던 사람들, 혹은 이 새를 지키려고 안간힘을 쏟았던 사람들의 삶을 소개한다. 국제자연보호협회 활동가로 일하며 멸종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