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국 전자기력이나 핵력 등과 크기가 거의 같아질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래서 힘의 세기가 비슷해지는 지점 근처에서 힘의 통일도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현재의 표준모형을 넘어서기 위해 더 많은 실험과 더 깊은 이론적 성찰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물질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궁금해 했어요. 기원전 6세기 경,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는 우주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말했어요. 아낙시메네스는 만물의 근원이 ‘공기’라고 했고, 엠페도클레스는 세상이 물, 공기, 불, 흙, 이 ‘4원소’의 사랑과 다툼 속에서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학자 ‘제임스 모리아티’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코난 도일’의 추리 소설에는 사설 탐정 ‘셜록 홈즈’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일하다 돌아온 의사 ‘존 왓슨’이 등장한다. 알쏭달쏭한 사건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모습은 수많은 팬을 사로잡았다.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상은 당치 않다며 비웃었다. 다윈을 떠받들던 진화학자들이 발끈한 건 당연하다. 20세기 초반 유전학자들과 진화학자들은 서로 치고 받으며 무려 30년을 싸웠다.1930년대 초반 로널드 피셔, 슈얼 라이트, J.B.S. 할데인 세 사람이 다윈과 멘델의 대화합을 끌어냈다. 단단한 입자 같은 유전자들이 키,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직 명확하게 답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힉스입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는 세기도 아직 잘 모르기 때문에 측정해 봐야 한다.표준모형이 말해주지 않는 것들1.현실과 표준모형의 예측값이 다르다?표준모형에서 예측한 현상은 거의 대부분 실제로 실험에서 확인됐다. 하지만 예상한 결과와 전혀 다른 ...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있다는 거예요. 18세기 영국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처음 주장했지요.이 학설은 20세기에 실험으로 증명됐어요. 1996년 미국 로렌스버클리 연구소에서 주변의 온도를 내리며 얼음 표면에 전자를 쏜 결과, 영하 148℃까지 전자가 얼음이 아닌 액체인 물과 충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거든요. 즉, 얼음 ... ...
- Part 3. 치킨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조리해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거든요. 하지만 우리가 먹는 ‘프라이드 치킨’은 18~19세기, 미국의 남부 지방 농장에서 일하던 흑인 노예들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어요. ‘주인’이 살을 발라먹고 남겨 준 뼈가 많은 부위를 좀 더 쉽게 먹을 수 있도록 기름에 바싹 튀겨낸 것이 시작이랍니다.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오목하고 투명한 유리를 통과하는 빛을 모으거나 퍼뜨리지요. 모데나의 그림이 그려진 14세기보다 이전인, 고대 로마나 중국에서도 안경을 썼다는 기록이 남아있어요. 옛날부터 사람들이 렌즈의 성질을 알고 이용했다는 증거지요.렌즈도 종류에 따라 기능이 달라져요. ‘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리는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마크 와트니는 스키아파렐리에 무사히 도착해 이제 화성을 떠날 날만을 기다리고 있어요. 그는 지구 시간으로 무려 687일, 즉 화성에서의 1년을 홀로 지냈지요. 그가 무사히 지구로 돌아갈 수 있을지 궁금한 친구는 영화나 책을 확인하길!그런데 마크 와트니의 이야기는 꼭 영화 속 일만은 아니에요.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이름은 린네, 18세기의 식물학자지. 오늘 내가 할 일은 ‘이름’이 가장 재미있는 생물을 뽑아 상을 주는 거라네. 어디 보자…. 몰라몰라, 오래사라…. 오호, 요즘 과학자들도 재미있는 이름을 좋아하는군. 응? 이게 생물의 이름 맞냐고? 맞아~! 생물이 가진 단 하나의 이름, 학명이지!내가 가장 먼저 이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