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긴 드로잉으로 골 넣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교과서에 따르면 공이든 대포알이든 가장 멀리 날아가려면 45도 각도로 포물선을 그리며
발사
해야 한다. 그러나 축구 선수들은 대개 이보다 낮은 각도인 30~35도로 공을 던진다. 45도 각도로 던지면 더 많은 찬스가 나지 않을까.적어도 축구장에서는 선수가 물리학자보다 똑똑했다. 영국 브루넬대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 환경학적으로 조사한 미국의 행성탐사계획 1975년 8월에 바이킹 1호기, 9월에 2호기를
발사
했다탐사기는 오비터(obiter ; 궤도선)와 랜더(lander ; 착륙선)로 구성되었고 궤도선은 착륙선을 화성궤도까지 운반하고, 텔레비전 카메라로 적당한 착륙지점을 탐색하여 착륙선을 화성에 보내 착륙한 다음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두드러진 은하단의 대표적인 예이다1958년 10월 2일에 발족한 미국 최초의 유인위성
발사
계획 항공우주국(NASA)의 탄생과 함께 착수되었다직접적인 계획의 목적은 소련의 우주비행을 앞지르려는 것이었으나, 실제로 소련을 앞지르게 된 것은 다음 단계인 제미니 계획 후반부터였다이 계획의 목적은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종으로 회전하는 극간궤도 위성이다1959년 제1호가
발사
된 이래 61년까지 모두 79호가
발사
되었다주기율표 3족에 속하는 희토류원소의 하나 녹말을 분해하는 효소 아밀라아제를 통틀어 말한다1833년에 프랑스의 페앵과 프뤼소가 맥아(麥芽)에서 추출한 역사상 최초의 효소제품이다 아닐린에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을 다짐했다.이미 우주센터를 건설하고 독자적인 우주로켓을
발사
한 일본은 우주개발에서 우리나라보다는 월등히 앞서고 있음이 분명하다. 비록 우리는 우주인 양성 프로젝트의 첫 단추를 끼우고 있지만 우주개발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장기적인 계획에 발맞춘 우주인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월 19일
발사
된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 우주선은 2015년 명왕성에 도착할 예정이다. 크기가 피아노만한 탐사선에 실린 7종류의 관측장비는 명왕성과 그 위성인 카론 표면의 지질학적 특성과 구성 물질의 종류, 대기의 구조와 온도, 성분 등을 탐사할 계획이다.새로운 지평선을 연다는 의미의 우주선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GPS 에 위협 느껴1973년 미국 국방부에서 인공위성의 무선신호로 전투기나 탱크에서
발사
되는 미사일을 목표물에 정확히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논의됐다. 1989?1994년 총 24기의 위성을 고도 2만200km에 배치함으로써 GPS라는 위성항법시스템이 탄생했다. 실제 GPS 수신기가 장착된 폭탄의 위력은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공동 개발하고 있다. 정읍방사선연구원 이주운 박사는 “2007년 한국우주인이 우주에
발사
될 때까지 완전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우주에서 김치를 먹는 모습만으로도 광고 효과는 매우 뛰어날 것”이라고 평가했다.우주인 배출사업은 기술적 파급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항우연측은 실제로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확보하는대로 자외선 데이터와 합쳐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2003년 4월
발사
된 갈렉스의 예상 수명은 6~7년 정도. 아직까지는 아무 탈 없이 잘 돌아가고 있고, NASA와의 협약에 따라 2008년 9월까지 운용할 예정이다. 운이 좋다면 2010년까지도 정상 작동을 기대할 수 있다. 그때까지 데이터를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기본적으로 가장 멀리 날아가는 각도는 45°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스키 점프를 할 때
발사
대의 각도는 45°다. 그렇다면 각도는 모든 스키 점프 선수에게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인데 왜 선수마다 거리는 차이가 나는 걸까? 그것은 바로 속도에 달려 있다. 처음 점프할 때의 속도가 빠를수록 포물선은 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