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08
32개의 자소를 기본자소로 선택했다. 그리고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그
구별
은 처리과정으로 미루었다. 만일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한다면 사람이 타자를 할 때 할 일이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표준글자판은 모음과 자음만으로 자소를 구분하였다고 하여, 2벌식이라 한다. 초성 중성 ... ...
사람이 열쇠노릇한다
과학동아
l
199007
자물쇠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신체 매개부위별로 살펴보자.■음성임식/감기걸린 목소리도
구별
사람들은 자기가 알고 있는 타인의 목소리 구조를 경험적으로 기억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컴퓨터에 도입, 특정인의 목소리 정보를 기억시킨 뒤 한두 단계의 인식장치를 거쳐 신원을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07
한마리가 밀렵된후 공식기록이 없다. ■사향노루/동물성 자연향료일곱 아종으로
구별
되며 우리나라의 사향노루는 전남 목포분근에서 만주를 거쳐 동부 시베리아의 아무르-우수리지방까지 분포한다. 험한 바위 사이를 잘다니며 천적을 만나면 바위 틈에 숨는다. 숲속에서는 넘어진 바위 위나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07
것이다. 특수 회로를 설계해 방사선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거짓 정보를 참 데이터와
구별
해 내는 원리다.또 특별 센서와 전자회로장치를 이용, 먼 우주에서 날아온 광자가 아닌 다른 입자가 포착될 경우 반응을 보이게 하는 방법이있다. 그럴 경우 자동적으로 추출된 자료는 즉각 지구로 보내지는 ... ...
벌레소리 듣는 뇌는?
과학동아
l
199007
서구인은 우뇌로 처리한다든가, 앞서 서술했던 벌레소리를 듣는데 좌뇌 우뇌의
구별
이 있다는 것 등이다. 이 이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 뇌 전문가들은 쓰노다씨의 실험이 매우 불충분한 뇌파측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쓰노다씨는 일본 성인 25명과 외국인 성인 9명을 대상으로 모음과 ... ...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07
산에서 나는 모든 산물을 가공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우선 1학년 때는 문과·이과만
구별
해 공통적으로 교양을 배우고 2학년이 되어야 비로소 전공을 다루게 된다. 4학년 때까지 우리가 다루는 모든 분야에 관해 폭넓게 공부하지만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만 집중적으로 공부하기는 힘들다.우리가 ... ...
수정후 이틀만에 태아 성감별해낸다
과학동아
l
199006
세포 하나만 제거했다. 염색체의 DNA를 증폭시킨 뒤 특정한 DNA의 서열을 조사, 성을
구별
해낸 기법 역시 진일보한 것이다. 적어도 성감별이 가능한 시점을 훨씬 단축시켰다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 종래에는 착상이 돼야 비로소 성감별을 할 수 있었다.그렇지 않아도 성감별에 많은 비난이 따르고 ... ...
공작
과학동아
l
199006
종류가 있다. 또 자바공작이라고 불리는 진공작도 있다. 수공작들은 다른 꿩 또는 새들과
구별
되는 특징이 있다. 깃털이 자라면서 아름다운 색깔로 장식된다는 점이다. 생각보다 튼튼한 체질의 소유자꿩과의 새들은 다른 어느 새보다 일찍 사람들에게 길들여져 가축화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닭은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06
연상가가 높은 단어(예, 하늘-푸르다)와 또는 연상가가 낮은 단어(마당-춥다)로
구별
돼 짝지워졌다. 암기한 후에 인출하도록 한 결과 맥락으로 작용하는 단어가 표적단어의 회상에 좋은 단서로 사용됨이 입증됐다.□일화적 기억의 도식을 사용하라.우리는 많은 사건들을 겪으면서 살고 있는데,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06
일어나게 된다. 이 현상도 부영양화라 하는데 완전한 자연요인에 의한 부영양화와
구별
하기 위해 이를 '인위적 부영양화'라고도 한다. 현재 우리가 문제로 삼고 있는 부영양화는 거의 인위적 부영양화이다. 이러한 호수의 오염은 자연 생태계의 균형의 파괴를 가져오고, 이 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