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스페셜
"
세균
"(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정식 의원] 연구실 안전사고 5년간 842건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제공. 최근 5년간 발생한 연구실 안전사고가 842건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바이러스·
세균
감염 우려가 있는 생물·의학 분야 안전사고는 해마다 증가해 248건에 달했다. 조정식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 ...
[코로나19 연구속보] 확진자 중 유독 많은 비만 환자…“코로나19 수용체 더 많았다”
2020.09.18
아울러 연구팀은 ‘장내 박테리아(
세균
)’에서 나오는 염증 자극 물질이 코로나19와 ‘상승효과’ 일으켜 과도한 폐 손상을 일으킨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를 중증으로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체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 ‘LPS’(Lipo-polysaccharide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들어갈 인물이 바로 기타사토이다. 현행 1000엔 권의 인물인 노구치 히데요(1876~1928) 또한
세균
학자인 점이 흥미롭다. 베링은 스승보다 먼저 노벨상을 수상한 것으로도 유명해졌다. 코흐는 1890년 투베르쿨린이라는 결핵 백신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는데, 투베르쿨린이 결핵을 예방하기는커녕 오히려 ... ...
영국서 개발한다는 ‘단일클론항체’ 코로나 치료제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효과를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항체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치사율이 아주 높다. 광견병의 병원체는
세균
이 아니라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는
세균
보다 훨씬 크기가 작다. 광견병 바이러스를 발견한 것은 1932년이었다. 그러니까 파스퇴르는 현미경으로도 보이지 않던 정체불명의 병원체와 싸웠던 것이다. 이 때문에 파스퇴르가 실체도 모르는 병원체를 분리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이해하고 다양한 백신을 본격적으로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1822~1895)였다.
세균
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사람이 둘 있는데 그 첫 번째 아버지가 파스퇴르이다. 파스퇴르는 일생에 걸쳐 여러 가지 업적을 남겼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콜 노르말)를 갓 졸업한 뒤에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 ...
코로나19 급성 호흡기 질환만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CoV-2)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은
세균
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감염돼 나타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분류돼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코로나19가 기존 급성 호흡기 질환 증상과는 달리 몸 전체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며 코로나19를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바이러스의 개체 수는
세균
보다 평균 약 50배 많았고, 지역에 따라 최대 461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공기가 없고 방사선이 가득하며 기온이 극과 극을 오가는 우주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사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산혁협동에서도 연구윤리를 지켜야
2020.07.22
표면에 묻어있는
세균
이나 바이러스를 죽일 가능성은 상식을 벗어난 것이다. 화학물질이
세균
이나 바이러스를 파괴하려면 직접적인 접촉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닐장갑에 화학물질이 묻어도 손에는 아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 ...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없애는 기술 개발이 그런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여기에 더해 바이러스나
세균
까지 없애는 기술을 공기청정기에 도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남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장은 융합기술이 나가야 할 길의 끝에는 결국 ‘사람’이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