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상
윗대
선대
선민
선
줄
줄무늬
뉴스
"
선조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선조
, 물개와 고래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4.05.23
신지영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팀은 부산 가덕도에서 발굴한 신석기시대
선조
가 해양성 생물을 주로 먹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은 2010년에 발굴된 우리나라 최대의 신석기시대 무덤으로 서로 다른 48명의 사람뼈가 ... ...
천동설의 정점…20초 간의 깊은 '울림'
과학동아
l
2014.04.06
프라하 구시가에 있는 천문시계 - 김민수 기자 보헤미아왕국으로 건설돼 신성로마제국의 수도로 번창하다 1918년까지 약 300여 년 간 합스부르크왕가의 지배를 받았 ... 의미하는 죽음에 대해 다시 한번 떠올려 보고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라는 당시 유럽
선조
들의 메시지가 아니었을까. ... ...
텃밭에서 깨닫는 먹거리의 소중함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유산에 대한 관심은 전통 한옥에 대한 관심으로 이끈다. 한옥의 비밀과 과학적인 우수성,
선조
들의 지혜를 소개하는 글은 많지만 정공법으로 우리 전통 방식을 이어 ‘제대로’ 한옥 짓는 법을 친절히 알려주는 책은 별로 없다. 이 책은 고건축 전문가이자 문화재보수기술자로 평생을 바친 저자가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제압하는 모습이다. 이런 매사냥의 모습은 참매의 사냥 습성을 잘 파악하고 이용한 우리
선조
들의 지혜가 연출해 낸 장면이다. 그렇지만 실제 야생 참매는 무엇인가에 놀라 날아오르지 않는 한, 습성상 풀숲에 숨어 지내는 꿩을 찾아 풀숲을 헤치고 들어가 사냥하지는 않는단다. 오히려 참매의 ... ...
무열왕의 아들 삼국 통일에 실질적 이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일반적으로 무열왕릉과 같은 경내에 있고 더 높은 곳에 위치한 점으로 보아 무열왕의
선조
들로 추측하지만 법흥왕 진흥왕 진지왕 무열왕의 아버지인 문흥대왕의 무덤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안내판에는 무열왕과 가까운 왕이나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한다고만 적혀있는데 이들 무덤은 돌방무덤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풍수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만 ‘서오릉의 창릉’ 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발복 자체가
선조
의 시신이 오래 썩지 않고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명당이라는 개념이 상당히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가 살기 싫어하는 집은 특히 좋은 집이 아니라고 알려진다. 고양이는 습기를 ... ...
왕에게 묫자리 빼앗길 것을 예상했던 이인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이인손의 묘 터도 명당이었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이인손의 유언이 적혀 있던 비단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한음 이덕형의 사당 안에 지금도 보관되어 있다고 알려진다. 충희공 이인손 묘 표지석 - 이종호 박사 제공 이 사건을 다시 돌아보자. 이인손의 유언대로 광주 이씨의 후손이 재실과 ... ...
덕수궁 보존의 비밀은 특별한 곡선 덕분?!
수학동아
l
2013.08.07
저택이었습니다. 그러다 임진왜란으로 서울의 모든 궁궐이 불타 없어지자 1593년부터
선조
의 임시 거처로 사용된 곳이죠. 무려 420년이나 지난 지금까지 덕수궁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수학'을 들 수 있습니다. 덕수궁의 처마 끝이 이루는 곡선을 '사이클로이드 곡선 ... ...
조선 건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도 홀대 받은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하였다. 신덕왕후에 대한 이런 대우는 태종이후에도 지속되었는데 200여 년 뒤인
선조
14년(1581) 3사(三司)에서 신덕왕후의 시호와 존호를 복귀하고, 정릉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신들은 태조 능인 건원릉비에 신의·신덕왕후가 열거되어 있고, 강씨가 차비(次妃)로 서술된 점, 태조가 정한 ... ...
이 시신이 정말 왕의 것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시신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혹시나 중종의 시신일지도 모르므로 결국
선조
는 뼈와 타다 남은 재를 가지고 다시 『국조오례의』에 맞춰 염을 해 안장했다. 조선왕릉 중에서 선릉과 정릉만 시신이 없는 무덤이 된 것이다. 모든 능상설(陵象設)은 『국조오례의』에 준하였으며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