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상
윗대
선대
선민
선
줄
줄무늬
뉴스
"
선조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일랜드인에게 중동-러시아인의 피 흐른다
2016.01.04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여성의 두개골. - 더블린 트리니티대 제공 현대 아일랜드인의
선조
인 ‘켈트족’의 뿌리에 중동과 러시아인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국제 공동 연구진이 밝혀냈다. 댄 브래들리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 교수팀은 영국 퀸즈대와 공동으로 고대 아일랜드인 유골의 ... ...
‘문화+과학’이 첨단산업 만든다
2015.11.08
제작 이야기를 들어 역사와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 기록에는
선조
들의 생활과 지혜, 과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며 “무궁무진한 이야깃거리와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재현해낼 수 있는 것은 현대의 과학기술 뿐”이라고 말했다. 이런 작품활동은 또 다른 문화 창달로 ... ...
冊으로 연휴 즐기기… 정서와 문화로 바라본 과학
2015.09.26
이미 26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현대 과학소설 못지않은 치밀한 상상력을 보여줬던
선조
들의 신화 이야기가 차곡차곡 녹아있다. 진정한 과학책이라고 분류하긴 어렵지만 과학적 탐사와 관찰력이 부족했던 옛 조상들이 나무를 통해 만들어 놓은 세계관과 그 속에 숨은 식물학적 의미를 엿볼 수 있다. ... ...
닭은 왜 가축이 되었나
2015.09.16
지낼 수 있는 동물은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잘 자라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
선조
들은 이러한 동물들만 골라내 가축화했을 것”이라며 “이번 결과를 닭뿐 아니라 돼지나 소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관련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 ... ...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 판단력 떨어진다
2015.08.05
장비로 검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심한 실험군은 자기조절기능을 담당하는 편도체와
선조
체 등 뇌 부위의 활성이 크게 저조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교수는 “(얼음물에 손을 3분간 담그는) 일상적인 수준의 스트레스도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무언가를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은 린네식 분류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기분류법의 사용을 제안했다. 공통된
선조
를 가지는 그룹을 묶어 마치 나무의 뿌리를 그리는 것처럼 가계도를 그리는 분류법이다. 생물의 분류방법이 분기분류법으로 바뀌면서 파충류의 정의 또한 바뀌었다. 현재 파충류는 분비기관이 없는 피부,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6억 년 전 해면이 존재한다는 건 이들과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진정후생동물의
선조
들도 살았을 거라는 뜻이다. 즉 아직 이들의 화석을 찾지 못했을 뿐이라는 말이다(어쩌면 에디아카라 화석군에서 이미 찾았을지도 모르지만). ● 동물의 배아냐 미생물 무리냐 이번에 해면 화석이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2_과거 행복했던 일을 기억할 때는 평범한 일을 기억할 때에 비해 뇌의 보상회로인
선조
체(왼쪽 뇌 이미지 원 안)와 내측전전두엽피질(오른쪽 뇌 이미지)이 더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뉴런 제공 끝으로 연구자들은 행복했던 과거를 음미할 때 보상회로가 관여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 ...
단식의 과학
2014.06.16
근거이기도 하다. 그런데 사실 필자는 이 주장이 탐탁스럽지 않았는데, 우리
선조
들이라고 해서 평생을 ‘꾸준히’ 굶주리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다큐멘터리를 봐도 야생동물들이 먹이가 풍족할 때는 배터지도록 먹고 없을 때는 며칠씩 쫄쫄 굶고 때로는 아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연결망이 강화된다. 행동의 자동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끝으로 습관이 각인되는 단계로
선조
체의 활동을 변연계아래피질(infralimbic cortex, 전두엽 아래 존재)이 관리하게 된다. 이때도 중뇌가 활성화되는데, 중뇌에서는 도파민을 분비해 행동에 쾌감이 따르는 결과를 준다. 결국 습관이란 어떤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