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08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보는 노벨상]② 인류를 위한 에너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5.03.01
연구는 2017년 심포지엄에서 논의됐습니다. 또 작년에 큰 이슈를 낳았던 AI 기반 노벨
물리
학상과 화학상 수상 역시 2023년 AI 관련 심포지엄으로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2023년에 태양전지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던 겁니다. 김희선 인하대 화학과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연구는 이제 ... ...
[사이언스게시판] 방위사업청-우주항공청, '제1회 민·군 우주개발사업 발전 국장급 협의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방문해 방호체계를 현장 점검했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한빛 원전의
물리
적 방호 현황과 원전 드론 규제체계를 보고받고, 드론 탐지 장비와 대응 장비 시연을 참관했다. 원전 드론 무력화 대응 장비는 2021년 12월에 도입됐고 드론 탐지 장비인 RF 스캐너는 2023년 7월 전 원전에 구축돼 운영되고 ... ...
[과기원NOW] GIST, 대학원생 4명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저 기술을 개발·이용해 강력장 양자전기역학 현상과 같은 극한
물리
현상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여 극한 자연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찾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 ...
"한국이 주도하는 우주망원경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거대 망원경 스케줄링부터 데이터 처리까지 AI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물리
, 천문, 수학 분야에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이 투입되면 대단한 발견이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원 내에도 AI 컴퓨팅 관련 부서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Q. 우주·천문 분야는 국제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주요 ... ...
양자컴 오류 정정 효율 높이는 '고양이 큐비트'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설계했다. 이재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기술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어떤
물리
현상은 0과 1 두 가지로 정해지는 일반적인 큐비트보다 더 다양한 값을 중첩 상태로 가질 수 있는데 그중 안정적인 상태 2가지를 골라 큐비트로 사용하는 게 고양이 큐비트"라고 설명했다. 비트 플립과 위상 플립 ... ...
차세대 무음극배터리 수명·안전성 문제 해결할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소재로 금속처럼 전기를 잘 전달하면서도 유연한 소재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물리
화학 레터스'에 공개됐다. 무음극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에서 음극을 제거해 작고 가벼우면서도 에너지 저장용량을 늘린 차세대 배터리다. 전기차나 에너지저장장치 등 높은 에너지밀도와 경량화가 필요한 ... ...
시시각각 변하는 나노입자의 3차원 원자구조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로 고유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나노입자는 에너지, 의료 등 첨단 산업의 기능성 소재 개발에 활용된다. 진공에서 고정된 나노입자를 관측하거나 수많은 나노입자의 평균 정보를 알아내는 기존 나노입자 관찰 방법은 ... ...
컴퓨터 폴더처럼 파일 분류·수정…차세대 DNA저장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DNA 염기서열에 정보를 저장한 후 'DNA 파일'에 다시 접근하려면 해당 DNA를 복제하거나
물리
적으로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DNA 파일의 염기서열을 찾아낼 수 있는 표시인 '프라이머'도 함께 설계돼야 한다. 프라이머는 보통 20개 이상의 염기로 이뤄진 DNA 조각으로 DNA를 복제해야 하는 부분을 ... ...
KAIST, 양자 컴퓨터 오류정정 위한 양자얽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분야의 양자 오류정정 기술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라영식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자오류 정정 기술의 핵심이 되는 3차원 클러스터 양자얽힘 상태를 실험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 컴퓨팅은 고전 컴퓨터로는 계산하기 어려운 문제를 효율적으로 ... ...
가속기 핵심 '대용량 스위치' 개발·실증…해외 최정상 연구기관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반도체 소자만으로 '펄스파워 제어용 대용량 스위치' 제작에 성공했다. KERI 제공 KERI 전기
물리
연구센터는 수천 개의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해외 기술과 다르게 단 수십 개의 저전력 스위칭 소자만 활용해 반도체 내용량 스위치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 소자 개수가 적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