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혈관"(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온도가 너무 높으면 체내 열이 밖으로 잘 방출되지 않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피부의 혈관이 수축하면서 외부로 열이 원활히 방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피부 온도는 주변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결국 높은 기온은 높은 피부 온도, 높은 심부 체온 순으로 영향을 줘 수면 상태로의 진입을 늦춘다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윳빛 혈관을 발견했다. 지금은 림프구 등 백혈구의 존재가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혈관은 붉은색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만들어진 건 1980년대에 들어서였다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밝혀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간이나 골수, 림프절, 비장, 편도선, 흉선에서 성숙해 혈관을 순환하며, 림프구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결합하는 방식으로 숙주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감염된 세포는 출혈을 일으키며 혈관에서 떨어져 나오고, 심하면 혈액 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에볼라바이러스는 소변, 타액, 체액 등으로 감염되며, 감염 시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에볼라바이러스 백신 개발은 약 20년 전부터 진행됐고, 첫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우리가 꼭 배양 접시 안에 있으리란 법은 없어. 때로는 칩 위에 올라가 회로에 연결되기도 하지. ‘기계’의 한 부분이 되는 거야! 오가노이드의 단 ... 많이 하는데, 이를 오가노이드칩으로 구현하려 해요. 소장이나 폐 오가노이드 주변으로 혈관 세포를 배치한 칩을 디자인하고 있답니다.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지단백질(VLDL) 분비로 이어진다. 초저밀도 지단백질은 백색 지방과 근육 조직 주변의 혈관 내벽에 있는 지질분해효소(lipase)에 의해서 유리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돼 지방세포와 근육세포 내로 흡수된다. 흡수된 다량의 유리 지방산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중성지방이 돼 비만이 된다. 차세대 ... ...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몸에서 뺀 피는 금방 굳어버렸거든요. 그래서 초기에는 피를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혈관을 동시에 연결해 수혈해야 했어요.1914년, ‘구연산나트륨’이라는 물질이 피의 응고를 방해한다는 사실이 알려졌어요. 그해 3월 27일, 벨기에의 의사 알버트 휴스틴은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해 최초로 몸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상당히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드라마처럼 팔의 모든 말초신경, 혈관 등의 생체 조직과 연결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건 현재 기술로 불가능하다. 지금은 신경 전극 칩을 팔다리에 이식해 여기서 나오는 신호를 일부 읽어내는 정도다. 김 교수팀은 2017년 개의 좌골(궁둥뼈) 말초신경에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송파구 송파동에 있는 한 안과를 찾아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망막과 시신경, 망막 혈관의 상태를 확인하는 안저검사를 받았습니다. 검사 결과 눈 근육이 다소 경직됐지만 시세포의 상태나 안압 등은 정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안과 전문의는 대뜸 ‘하루에 하늘을 몇 번이나 올려다보냐’고 ...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답니다. Q 제노봇은 어떻게 활용될까요?제노봇은 인간의 몸 안에서 약물을 전달하거나 혈관에 낀 혈전을 긁어내는 데도 사용될 수 있어요. 더 나아가 물속에서 방사성폐기물을 찾아내 청소하거나,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수거할 수 있어요. 버몬트대학교 조슈아 본가드 교수는 “제노봇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