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논문"(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리튬이온전지는 충전이 가능하고 작은 부피에 에너지를 고밀도로 저장할 수 있어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차의 배터리로도 쓰인다. 리튬이온전지의 개발은 무선기기 시장을 열었고, 화석연료가 없는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음극에 리튬 금속양극에 이황화티타늄 1970년대 석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아데노신에 인이 세 개면 아데노신삼인산….”‘참을 인(忍)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는 속담이 이렇게 바뀌다니. 만화 속 개그 센스에서 이과 사람의 향기가 물씬 풍긴다. 아데노신삼인산(ATP)은 우리 몸과 근육의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화합물이다. 만화인데 논문에서나 볼법한 참고문헌도 붙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주기율표에서 탄소 바로 아래 위치한 규소. 때문에 규소를 탄소의 아류 원소 정도로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규소는 탄소가 갖지 못한 중요한 특성이 하나 있다. 바로 반도체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덕분에 규소는 현대 전자공학을 발전시킨 핵심 원소가 됐다. 정보기술(IT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올해 2월 말, 전 세계 모바일 통신 칩 기술을 선도하는 퀄컴(Qualcomm)에서 같이 일해보자는 얘기를 들었던 그때가 말이다. 처음 반도체 회로 설계 연구를 시작할 때 막연히 IBM, 인텔, 퀄컴 같은 세계적인 기업에서 일하고 싶다고 생각했었는데, 그 꿈이 현실이 되다니. 지금도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탈리아라고 하면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고, 한국과 유사하게 사계절이 있으며, 음식이 맛있는 나라라고만 알고 있었다. 영화에서 이탈리아 사람들이 나오면 한국 사람들과 기질이 꽤 비슷한 것 같다고 느끼면서도, 영화 밖에서 이탈리아는 여전히 낯선 유럽 나라 중 하나였다. 그런데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1, 2, 4, 7, 11처럼 수를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수열의 일부를 똑 떼서 살펴보면 수가 점점 커지는 ‘증가수열’ 또는 점점 작아지는 ‘감소수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최근 수열을 부분수열로 쪼개서 볼 때 나타나는 수학적 성질을 밝힌, 재밌는 이름의 수학 정리가 나왔습니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탄소는 가장 많은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원소다. 미국화학회가 운영하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등록 번호’에 등재된 화합물 중 탄소 화합물이 대략 90%에 이른다. 그런 탄소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생명, 문명, 별빛, 이 모든 곳에 탄소가 필요하다. 물론 화석연료와 합성소재의 무분별한 사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최근 조합론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SNS가 인터넷에 올라온 논문 하나 때문에 떠들썩했습니다. 민감도 추측이라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오랜 추측을 이 분야 연구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결하게 증명한 겁니다. 답이 ‘예’ 또는 ‘아니오’ 둘 중 하나로 나오는 ...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질문을 하나 드릴게요. 여기 전시된 그림은 누가 그렸을까요?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력 있는 신진 화가일 것 같다고요? 놀랍게도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그린 그림입니다. 그게 가능한 일이냐고요? 전시장 안으로 들어가 보시죠. 그림만 있으면 세계적인 화가의 그림풍으로 바꿔 그릴 수 있는 화가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사냥질, 개, 쥐잡기에나 관심이 있는 너는 가족과 네 자신에게 부끄러운 존재가 될 거다.”아버지가 아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면 얼마나 상처가 클까? 실제로 이 말은 1827년 영국 에든버러대에서 의학 공부를 중도에 포기하고 낙향한 18세 청년에게 퍼부었던 성공한 의사 아버지의 악담이었다. 그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