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논문"(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대학원생은 전공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이면서 동시에 정부의 연구과제 등에 참여하는 연구원이다. 석사과정 4만5099명과 박사과정 2만9052명의 대학원생들이 전국 각지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01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인력의 14.4%를 차지하는 이들은 가가 필요로 하는 고급 이공계 인력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입구에서 조금 번거로운 보안 검사를 거쳐야 들어올 수 있을 거예요.”3월 10일 대전 유성구 LG화학 기술연구원. 전날 윤효정 책임연구원의 안내 문자대로 입구에서는 보안 검사가 이뤄졌다. 방문객 보안 안전 교육을 듣고 나자 신분증 확인, 스마 ... ...
- “테이블 가운데에 당당히 앉으세요” 5G 표준 만드는 통신공학자과학동아 l2020년 03호
- ◇ 보통난이도 ㅁ┃서울 동덕여고┃덕성여대 컴퓨터과학과 학사┃연세대 컴퓨터과학과 석사┃연세대 컴퓨터과학과 박사┃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연구원 “표준이요? 그게 정확히 뭔지 사실 저도 입사 후에 알았어요.”2월 3일 서울 서초구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만난 김현숙 LG전자 C&M표준연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술술 읽혀요 국민학교(현재 초등학교)에 입학하기도 전이었다. TV 전원을 연결하다가 불꽃이 튀는 현상을 처음으로 겪었다. 항상 주변에 있던 전기였지만, 직접 그 존재를 마주한 첫 순간이었다. 나는 전기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집안 화장실에 전구가 나갔다. 이게 문득 전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읽으면천재 | 액시온 우주를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의 오감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별과 행성, 가스 등 보통물질은 전체의 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로 채워져 있다고 본다. 하지만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아시안 게놈 분석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아시아의 64개 국가, 219개 민족, 1739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 현재까지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가장 광범위한 유전자 분석으로 ‘아시아 최초의 종합 유전자 지도’로 불리고 있다. 이 연구 결과가 아시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에는 피검사만으로도 다양한 질병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런 검사를 ‘체외진단검사’라고 합니다. 체외진단검사에 쓰이는 시약을 만드는 회사에서 활약하는 수학자가 있어 만나봤습니다. 진단 시약이 뭔가요?제가 일하는 씨젠은 분자 진단 시약을 만드는 회사입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벌써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를 함께 한 프랑스인 연구원이 있어요.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오통스 세레 연구원이 그 주인공이지요. 어쩌다 한국에 오게 됐는지, 지사탐 활동이 그녀에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했던 기자가 모든 것을 직접 물어봤답니다. Q프랑스에서 어떻게 한국에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한 해가 벌써 거의 다 지나고 다시 겨울이 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겨울은 유달리 추웠다. 이렇게 추울 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저체온증이다. 사람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온동물이지만, 추위에 오래 노출되면 신체도 버틸 재간이 없다.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면 특이한 양상이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유난히 뜨거웠던 2009년 8월, 필자가 속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연구팀은 몽골 부긴자프에서 충격적인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두개골과 앞발, 뒷발 골격은 도굴된 상태였으나 어깨와 앞다리 골격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반세기 동안 공룡 학계의 숙제였던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