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심
핵심
중앙
근원
추석
센터
축심
d라이브러리
"
중추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간이나 심장 등 주요 장기가 망가져 쇼크 상태에 빠진다. 심각할 경우 심혈관, 간, 혈관,
중추
신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사망에 이를 수 있다.약을 먹을 때는 연령별 용법을 지켜야 해!납 장난감?!한창 성장하는 어린이들은 세포의 신진대사가 활발하고 흡수력이 좋아 납 등 의 중금속에 노출되었을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30건이 넘고 그가 설립한 바이오벤처 스템셀테라뷰틱스 사는 뇌출혈을 비롯한 다양한
중추
신경계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그의 발견은 ‘신경세포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100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이다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감염된 개나 사람은 물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공수병으로도 부른다.이 바이러스가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면 음식을 삼키는 근육(연하근육)에 통증성 경련이 일어나 물을 삼키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광견병 바이러스는 다른 개체에 전염되기 위해 개의 뇌 안에서 겁 없고 공격적으로 날뛰도록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미국 뉴욕 콜롬비아장로병원의 생리학자 레온 로이진 박사는 각종 약물과 희귀 성분들이
중추
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40년 이상 연구한 사람이었다. 친구였던 클라인 박사의 부탁으로 좀비 실험을 시작했다. 1982년 그는 쥐와 레서스원숭이의 두뇌에 뇌파 전위기록장치(뇌파계)를 연결하고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세포가 파괴된 결과 렙틴의 식욕억제 신호를 받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그렇다면 ‘식욕
중추
’인 시상하부는 어떻게 식욕을 조절할까. 먼저 렙틴 호르몬은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 가운데 식욕을 일으키는 신경펩티드Y를 방출하는 뉴런의 활동을 억제하고 대신 식욕을 없애는 호르몬인 알파-MSH를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핫초코, 콜라, 녹차, 홍차 같이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시지 않는다. 카페인은 뇌와 같은
중추
신경을 흥분시켜 잠들지 못하게 한다.❺ 저녁에 과식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잠자리에 들기 전에 우유나 바나나처럼 ‘트립토판’이 든 음식을 먹는 건 좋다. 트립토판은 몸 속에서 세로토닌이 되는 물질로,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웃음은 상대방의 뇌에 보내는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한다. 웃는 얼굴은 상대방 뇌의 보상
중추
를 활성화시켜 편안함과 친근감을 주기 때문에 호감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뇌마다 호감도 제각각~모든 사람이 같은 사람에게 호감을 가질까? 호감과 비호감에 정확한 기준은 있을 수 없다. 사람마다 경험이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번에 발견된 효소는 지금까지 한 번도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다. 코데인과 모르핀은
중추
신경계에 작용해 진통, 마취 효과를 낸다.연구팀은 이 효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양귀비에 주입해 테바인과 코데인의 대사가 이뤄지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파치니 교수는 “양귀비를 직접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DHA)을 제대로 섭취할 수 있느냐가 뇌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었던 걸로 보인다. AA와 DHA는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다.초기 인류는 해안가에 살았기 때문에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가 중요한 음식이었다. 해안 환경은 이들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었다. 실제로 조개류는 깊은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러한 것을 조건반사라고 부른다. 조건반사는 과거의 기억을 바탕으로 하므로 대뇌가
중추
가 되고, 후천적인 반사이므로 무릎반사와 같이 선천적인 반사 행동과는 다르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