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심
핵심
중앙
근원
추석
센터
축심
d라이브러리
"
중추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
인 측면슬상핵 표면을 자극하자 고양이는 특정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내기도 했다. 이 기술이 가능한 이유는 망막에 분포한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위한 안내서’에는 바벨피쉬라는 외계생물이 나온다. 이 기괴한 물고기는 언어
중추
에서 나오는 신호를 먹고 소화시켜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신호로 바꿔 배설한다. 소설속에서 어쩌다 우주여행에 나서게 된 주인공은 바벨피쉬를 귀 속에 집어넣은 뒤 외계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먼지, 꽃가루 등이 코의 점막을 자극한다.❷ 자극이 뇌로 전달돼 호흡을 조절하는 호흡
중추
에 신호를 보낸다.❸ 횡격막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많은 양의 공기를 들이마시게 된다.❹ 들이마신 공기와 함께 먼지 같은 자극 물질을 빠른 속도로 내보내기 위해 재채기가 나온다.딸꾹! 앗, 깜짝이야!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붙이면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류가 흐르며 뇌를 자극한다.][tDCS의 음극으로 중독
중추
를 억제하면 금연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tDCS, 미래의 의료기기 될까이제 과학자들은 새 장치의 표준 사용법을 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tDCS 연구는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5년 밖에 지나지 않아 아직 가이드라인이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외에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도 나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 몸의
중추
신경계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서로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인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이 사실은 신경계 질환 치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각종 신경계 질환은 ... ...
음악을 들으면 행복해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fMR) 촬영을 동시에진행했다. 이 결과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 도파민이 학습과 기억의
중추
인 ‘미상핵’과 기쁨을 느끼게 하는 부분인 ‘아큠밴’에서 분비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도파민 분비량은 음악 소리가 클수록 많았다. 자토르 교수는 “사람들이 음악을 좋아하는 원인을 뇌화학적으로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목할 만하다. 올해 문제들을 살펴보면 반고리관에서의 회전감각과 막전위의 관계,
중추
에서의 시각 성립 과정, 그리고 생식세포의 비분리에 따른 염색체 돌연 변이 문제를 눈여겨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응용문제가 새롭게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개념을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이다. 하지만 기압변화는 분명히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요소다. 높은 분압의 산소는
중추
신경계, 허파, 망막 손상 등을 일으킨다.보통사람은 이런 높은 기압보다는 등산을 할 때 고산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낮은 기압’의 위험성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적응기간 없이 갑자기 높이 올라가면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T1R1과 T1R2가 동시에 발현하지는 않았다. 단맛과 감칠맛 정보는 별도의 경로로 미각
중추
에 전달돼야 하기 때문이다.짠맛의 경우 나트륨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이온통로인 ENaC가 1984년 발견된 이래 많은 연구자들이 ENaC가 짠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은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막 전위의 변화로 전환시켜 활동전위를 형성한다. 이 활동전위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중추
신경계로 전달된다.막 전위세포들은 세포막을 기준으로 세포질과 세포 외부 환경 간의 전하 분포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하는데 이를 막 전위라 한다.신경세포(뉴런)신경계의 기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