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입"(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의 유전체가 세포 안에 안착한다. 주사기를 찔러 넣듯 유전체를 세포 안으로 주입하는 바이러스도 있다. 박테리오파지 등 주로 박테리아(세균)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이 이런 전략을 쓴다. 박테리오파지가 박테리아에 붙으면 바이러스의 꼬리 부분 섬유가 박테리아의 세포막에 파고들고,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다.연구팀은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팀은 곧바로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한다. 혈청 치료법은 병원체에 대한 면역성을 갖게 된 면역 혈청을 주입해 감염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디프테리아 혈청 치료법은 독일의 세균학자 에밀 폰 베링이 최초로 개발했는데, 베링은 이 업적으로 19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베링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을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체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세포를 만들고자 했다. 이들은 쥐에게 양의 적혈구를 주입하고 이로 인해 쥐의 비장에서 활성화된 B림프구를 추출했다. 그리고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을 이용해 골수종세포와 융합했다.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은 세포융합을 촉진한다.쾰러와 밀스테인은 1975년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략이다. 대부분 백신은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거했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한다. 이런 백신을 통해서 인체가 후천적으로 면역력을 획득하면, 이후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백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는 것도 이런 이유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아닌 항체 매개 면역반응만 유도한다. 불활성화 항원이 인체에 주입되면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T림프구는 거의 반응하지 않고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가 우선 반응한다. 그래서 세포 외액에 포함된 항체나 보체, 단백질 등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 매개 면역반응이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체치료제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주입한다. 항체치료제는 언젠가, 반드시 찾아올 바이러스에 대항할 차세대 감염병 치료제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더 쉽게 찾아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박성수 제주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톡 쏘는 맛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로 탄산을 주입해서 출시하는 제품도 많다”고 설명했다. 마트에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캡슐이나 분말 형태로 제조된 콤부차도 있는데, 이는 발효가 끝난 콤부차 액을 건조시킨 것이다. 여기엔 톡 쏘는 맛을 내기 위해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오후 3시경 1단 연료탱크에 충전을 시작했고, 뒤이어 곧바로 산화제인 액체산소 주입을 개시했다. 충전 작업은 순조로웠다. 상단 자세제어시스템에 필요한 질소가스 충전이 연습 때보다 조금 더디게 진행됐으나 문제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안전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마쳤다. 발사대 남쪽으로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위치한 고립핵의 꼬리쪽(cNST)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세설팜포타슘을 주입했을 때에는 cNST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고립핵은 체내 장기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영역이다.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장에서 느끼는 단맛 신호를 뇌까지 전달하는 단백질도 찾았다. 나트륨-포도당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