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입"(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략이다. 대부분 백신은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거했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한다. 이런 백신을 통해서 인체가 후천적으로 면역력을 획득하면, 이후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백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는 것도 이런 이유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약화하거나 제거해 안전성을 확보하지만, 바이러스 전체를 주입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다.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통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의 유전체가 세포 안에 안착한다. 주사기를 찔러 넣듯 유전체를 세포 안으로 주입하는 바이러스도 있다. 박테리오파지 등 주로 박테리아(세균)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이 이런 전략을 쓴다. 박테리오파지가 박테리아에 붙으면 바이러스의 꼬리 부분 섬유가 박테리아의 세포막에 파고들고,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게 된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맞는 백신이 바로 이런 원리다. 병원성을 낮춘 항원을 몸에 주입해 미리 기억 T림프구와 기억 B림프구가 생성되도록 돕는 것이다.그렇다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항원이 아니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돼 우리 몸에서 증식하게 되면 어떨까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내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염된 세포를 찾아 파괴하던 T림프구가 다른 혈통의 쥐에게 주입했을 때는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지 못했다. 이는 T림프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하려면 바이러스 항원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도 필요하다는 걸 의미했다.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아닌 항체 매개 면역반응만 유도한다. 불활성화 항원이 인체에 주입되면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T림프구는 거의 반응하지 않고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가 우선 반응한다. 그래서 세포 외액에 포함된 항체나 보체, 단백질 등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 매개 면역반응이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존의 항암제와 함께 사용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이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인체에 주입된 항암 바이러스가 암세포에서 자라면 기존 항암제가 이를 인식하고 암세포만 공격해 없애게 하는 원리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돼있는 덕분에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자살하도록 만들거나, 공격 대상인 세포 내부로 물과 염분을 주입해 괴사를 일으키게 유도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항원을 무력화할 능력을 갖춘 셈이다.자연살해세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수지상세포를 통해 항원에 대한 교육을 받은 T림프구나 B림프구가 오기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다.연구팀은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팀은 곧바로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한다. 혈청 치료법은 병원체에 대한 면역성을 갖게 된 면역 혈청을 주입해 감염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디프테리아 혈청 치료법은 독일의 세균학자 에밀 폰 베링이 최초로 개발했는데, 베링은 이 업적으로 19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베링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