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010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2006년부터 5년간 전국 소비자 4600명을 대상으로 근내지방도(마블링), 부위, 숙성 정도, 요리 방법 등 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르게 한 소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조사를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0년 전 네덜란드 수학자 헤릿 레케르케르커르가 동일한 연구를 먼저 발표했다. 예를 들어 100을 피보나치 수로 분해하면 100 = 89 + 8 + 3, 100 = 89 + 8 + 2 + 1, 100 = 55 + 34 + 8 + 3이다. 하지만 이 중 100 = 89 + 8 + 3만 제켄도르프 정리를 따른다. 100 = 89 + 8 + 2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점을 중심으로 벡터가 퍼져 나가는 모양을 보고 각 점마다 지수를 매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의 벡터가 시계방향으로 뱅글뱅글 도는 점의 지수는 +1, 나비의 양 날개처럼 퍼져 나가는 점의 지수는 +2다. 가마가 없는 벡터장에서는 벡터의 크기가 0인 점(털의 길이가 0인 점)을 모두 찾아 그 점의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카우보이 게임에서 야생마가 카우보이를 떨어트리기 위해 날뛰는 동작이 자신이 예측한 패턴과 똑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이 같은 동물의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기자가 학교에 갈 때에는 교과서, 문제집, 각종 유인물, 공책, 필기구까지 챙길 게 정말 많았어요. 그러나 요즘 학생들은 이 모든 것을 태블릿 PC 한 대로 대체하고 있어요. 태블릿 PC에 수업 ... 여러분도 누군가를 돕기 위한 일을 하다 보면 비로소 자기 스스로 만족할 수 있을 거예요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등의 다른 메타버스와 다른 점은 게임을 직접 만들고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마인크래프트는 로블록스와 마찬가지로 블록을 쌓아 건물을 만들고 탐험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지만, 다른 이용자가 만든 맵을 체험하거나 게임을 함께하려면 새로운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해야 해요.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외에도 실외 이동로봇을 일상에서 활용하려면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로봇과 부딪혀 사고가 날 가능성은 없는지, 로봇이 도난당할 염려는 없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로보티즈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장치를 마련해 뒀습니다. 김 부사장은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들이다. 2023년 초 호주에서 임상 1상 실험이 완료된 근감소증 치료제가 대표적인 예다. 그동안은 사람이 아프면 근육이 빠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문제라 인지하지 않았다. 온코크로스에서는 이를 개선하는 약물을 만들고 있다. 전이 억제제도 있다. 암이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벗어나 ... ...
- [출동, 슈퍼M] 귀에 쏙쏙 들어오는 노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박자를 살펴볼까요? 곰 세 마리는 4/4박자, 옹달샘은 3/4박자, 산토끼는 2/4박자예요. 4/4박자에 따라 음의 세기인 ‘셈여림’이 달라져요. 박자는 첫 박에는 강하게, 두 번째 박에는 약하게, 세 번째 박에는 중간 크기로, 네 번째 박에는 약하게 소리를 내야 하지요. 박자와 셈여림에 맞춰 박수를 치면서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순우리말 중에서 라틴어로 바꿨을 때 어색하지 않고 발음하기 쉬운 것을 찾았어요. 예를 들어, 한나라(Hannara), 온누리(Onnuria), 미리내(mirinae) 등이 있죠.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 등 대부분의 산의 이름이 제가 발표한 학명에 다 들어갔어요. 분류학자인 제가 2018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은 것도 이런 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