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폭발 등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가능성의 장이
열
린 것이다. 하지만 경쟁자는 있다. 중국은 현재 100페타와트 출력 레이저를 2026년~2027년경까지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남 연구단장은 “한국도 그 정도 규모의 연구시설을 만들어 한 단계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금속 원소와 황산이 반응하면서 반응
열
이 발생하기 때문에 침출 공정 설비들은 모두 내
열
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추출 공정에서는 유가 금속이 녹아 있는 황산 침출액에서 망간과 코발트, 니켈을 각각 분리해 냅니다. 이를 위해 먼저 추출제를 이용합니다. 각각의 유가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때문에 껌이나 젤리처럼 시원한 느낌을 내면 좋은 음식에 많이 활용할 수 있지요. 하지만
열
을 가했을 때 설탕처럼 갈색으로 변하며 풍미를 더하는 ‘캐러멜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빵이나 쿠키 등에 활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오덕근 교수는 “알룰로스와 타가토스 등의 감미료가 설탕과 비슷한 ... ...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온도는 230℃였어. 이건 이 행성에 대기가 없다는 걸 뜻해. 연구팀은 대기가 있었다면
열
이 분산돼 이보다 100℃는 낮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어. 멀리 있는 행성의 온도를 망원경으로 측정할 수 있다니! 크기가 작고 온도가 낮은 외계 암석 행성에서 방출되는 빛을 포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야.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원시별은 질량이 낮아 홀로 빛을 낼 수 없다. 이 교수는 원시별의 중력 포텐셜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바뀌면서 만들어진 미약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게 전부라고 설명했다. “태양의 표면 온도가 약 5770K(켈빈〮5770K는 약 5496。)인데 원시별의 표면 온도는 겨우 2000~4000K입니다. 태양 질량의 8%가 될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 역할을 하면서 지구가 밤의 우주로 뿜는
열
보다 조금 더 많은
열
을 지구 대기 안에 축적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온난화 현상과 그로 인한 기후변화가 나타난다. 현재 문제가 되는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화석 연료를 연소해 나온 것이고, 화석 연료는 지구의 생명 퇴적물들이 ... ...
최상위 포식자 ‘메가로돈’ 영화와 실제 화석은 얼마나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한국경제신문을 거쳐 현재 동아일보에서 과학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동아의
열
혈 독자다. jwchoi@donga.co ❋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 ...
[5년 후, 과학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양극과 음극에 사용할 때, 물 수분해 반응을 위해 각각의 전극에 가해야하는 전압의 합은
열
역학적 최소 필요 전압보다 0.39V가 커서 에너지 손실도 존재합니다. 촉매 성능이 낮으면 이 에너지 손실은 훨씬 커지죠. 또 백금과 이리듐 같은 귀금속은 가격이 비싸 산업에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 ...
꿀벌 실종도 로봇으로 막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영국 더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파샤드 알빈 교수를 비롯한 유럽 공학자들은 로보로
열
(Roboroyale)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들의 목표는 여왕벌을 돕는 거예요. 여왕벌은 한 벌집에 한 마리만 있는데, 수벌과 교미하며 자손을 번식시키는 역할을 하지요. 알빈 교수팀은 여왕별이 알을 잘 낳도록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진행할 예정이에요. 그리고 국내에는 연구자가 소수라서 그간 국내 대학원에서
열
리지 않은 주제로 계절학교를 정기적으로 운영합니다. 국내 대학원생이 그 분야의 가장 최신 연구 주제를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거지요. Q.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목표는요? 지금 세운 계획을 모두 진행해 좋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