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염기 하나하나에 형광 물질을 부착하고 색깔 순서대로 빛을 검사하거나 염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킬 때 나오는 미세한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네 번째, 이렇게 밝혀낸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모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이어 조합한다. 이런 ‘유전체 조립’ 과정을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적어 괜찮았을지라도, 성층권에 (금속 에어로졸) 입자가 아주 많아지면 지구로 들어오는 빛 투과도 달라질 수 있다”며 “충분히 검토해 봐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상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역시 “잔해물들에서 나오는 극미세 입자들은 지구복사수지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로켓의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방사선이 대기와 부딪쳐 만들어 내는 뮤온 잡음 때문에 더욱 관찰하기 쉽지 않다. 태양 빛의 근원인 태양 핵융합의 산물, 태양중성미자도 일본과 캐나다의 지하실험실에서 관측됐다. 이를 통해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진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IBS 지하실험 연구단도 태양중성미자를 좀 더 정밀하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이며,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빛,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죠. 파장은 짧을수록 에너지가 커요. 그래서 자외선은 큰 에너지로 사람의 피부를 태우기도 하고 살균 작용도 하지요.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세계보건기구(WHO)는 20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0년 뒤,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실험을 하다 용액 속에 들어있던 수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입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빛을 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이 작은 입자들의 정체는 양자점. 오늘날 QLED TV부터 질병의 진단까지 폭넓게 활용되는 나노물질이다. 브루스 교수는 처음 이 모습을 보고 ‘시료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는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다른 작물을 재배할 때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이용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았다. 빛을 보충해 준 무는 자라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장금이를 칭찬했지만 아쉽게도 별다른 반응은 없었다. 장금이는 AI 중에서도 다소 무뚝뚝한 편이었다. 나는 이제 무 옆에서 기르던 배추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노입자가 점점 더 큰 에너지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은 에너지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양자점은 이 점을 이용해 크기를 조절해 가며 다양한 색을 내는 소재다. 따라서 크기가 균일한 양자점을 합성할 수 있다면 그 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펄펄 끓는 비누에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셈이다. “저희가 변기 내부에 LED 조명을 설치한 이유죠.” 박 박사가 영롱한 푸른빛의 스마트 변기를 가리키며 말했다(실제 사용할 때는 백색광이 나온다). 연구팀의 다음 임무는 스마트 변기의 인공지능(AI)에게 대변의 형태를 학습시키는 것. 오늘날 대변 연구자들은 1997년 케네스 히튼 영국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다고 믿는다. 인류의 한계에 도전하는 초고속 현상 연구에서 한국의 기초과학이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필자소개 김경택. KAIST 물리학과에서 ‘아토초 펄스의 생성과 측정’에 대한 연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캐나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