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도와 러시아 등이 달 남극으로 향한 이유는 물 때문이다. 달의 남극에는 태양 빛이 들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 있는데, 과학자들은 이곳에 다량의 물이 얼음 형태로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물은 앞으로 달을 개척할 때 식수로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와 수소로 분해돼 연료의 재료도 될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만드는 플라스틱화이트바이오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내 기업들의 연대는 2024년 빛을 발할 전망이다. 10월 13일 GS칼텍스는 “LG화학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 중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P) 시제품을 2024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해 상업화를 준비할 것”이라고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발견을 이끌어낼 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이곳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강력한 빛으로 새로운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죠.” 김철민 연구위원의 강연으로 랩투어가 시작됐다. 초강력 레이저의 핵심 원리 ‘처프 펄스 증폭(CPAChirped Pulse Amplification)’부터 앞으로 초강력 레이저가 활용될 분야까지,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흰색 부분은 빛을 대부분 반사하고, 검은색 부분은 빛을 적게 반사하는데, 판독기는 빛이 어느 정도 흡수되고 반사되는지를 파악해 바코드의 흰색과 검은색 부분을 구분하지요. 이때, ‘이진법’을 활용해요. 이진법이란 0과 1의 두 숫자만으로 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말해요. 바코드의 흰색 부분은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순식간에 바뀌는 모습이 나옵니다. 마치 순간이동을 하듯이 말이죠. 순간이동을 하려면 빛만큼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건 지금까지 많은 과학자들이 증명했듯 불가능합니다. 이런 순간이동이 가능한 것은 오로지 ‘양자 상태의 정보’뿐입니다. 양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가장 작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차가운 상태를 유지해요. 반대로 서태평양의 바닷물은 무역풍을 따라 이동하며 태양 빛을 받아 따뜻해집니다. 그 결과, 서태평양 주변의 공기는 따뜻한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하늘 위로 올라가는 상승 운동을 하게 돼요. 반면 수온이 낮은 동태평양 바다 위의 주변 공기는 무거워져, 하강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튼 교수의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 관성력은 구분할 수 없다는 원리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질량이 없는 빛의 휘어짐이나 시공간의 곡률을 설명할 수 있다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유는 공기에 메탄 가스가 많기 때문이에요.메탄 가스는 붉은 빛을 흡수하고 푸른 빛을 튕겨내는 성질이 있지요. 천왕성에도 토성처럼 고리가 있지만, 아주 얇기 때문에 보이저 2호가 찍은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아요. 2023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찍은 사진에는 천왕성의 고리 13개 중 11개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주변 행성의 반사광을 이용해 촬영하는 미국 장비예요. 기존 장비보다 빛에 200배나 더 민감해 달 표면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지요.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달의 남극에 가까운 ‘섀클턴 크레이터’라는 곳입니다. 지금까지는 관측할 수 없었던 곳이죠. NASA는 “사진을 보면 화살표 왼쪽에 세로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코딩으로 로봇 공을 조작해 낚시 배틀을 했는데요. 이때 윤 학생의 프로그래밍 실력이 빛을 발했습니다. 예컨대 윤 학생은 15cm 정도 높이의 모형 산 가운데에 위치한 물고기들을 잡는다는 목표를 정했습니다. 이것이 어려운 이유는 오르막이라서 속도와 시간 조절을 세심하게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