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단다.❷본인의풀이를보고다른회원이의견을낼수있도록공개댓글로단다.※단,문제를보자마자답을알겠으면,다른회원도고민하며풀수있도록비밀댓글로 풀이를 단다.❸ 댓글로 풀이를 적고 나면 정답 확인 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1차로 폴리매스 멘토가 검토 후 오류가 없으면 문제 출제자가 최종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최근 과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개념은 ‘인류세’다. 인류세는 ‘인류가 만든 새로운 지질시대’로, 인류가 지질 역사에 흔적을 남길 정도로 지구 전체 ... 뜻이다. 과연 새로운 지질시대인 인류세는 부산에서 그 막을 올릴 수 있을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다려보자.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모인 ‘데이터의 집’ 같은 건물이다. 데이터 센터는 어떤 일을 할까. 영상을 예로 들어보자. 스마트폰에서 영상을 스트리밍 하면, 데이터 센터에 저장돼 있는 해당 파일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터로 전송된다. 라우터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일종의 중계 장치다. 정보를 받은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창욱 레이우엔훅의 연구는 이제 시작이닷! 뉴턴보다 먼저 만유인력의 원리를 발견해 보자! 연구자의 입장에서 ‘프린키피아 : 마스터 오브 사이언스’는 어떤 게임일까요?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연구한 정동욱 경상국립대 철학과 교수에게 게임을 한 소감을 들어보았습니다. 정 교수는 “이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리더십’은 지금까지 자연과학 도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는 아니었다. 과학보다는 경제나 경영 혹은 정치나 사회 분야에서 쓰이는 경우가 훨씬 흔하고 익숙하다. 우리 공동체를 좀 더 나 ... 리더십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사유하는 기회를 가져보자.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상황이 불만스러웠지만 엄마의 행방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일단 연락이라도 해보자는 심산으로 아주 오랜만에 엄마의 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통화 연결음이 몇 차례 울리지 않았는데 예상외로 빨리 통화가 연결됐다. 소리를 들어보니 아직 바깥인 듯했다. “지금 어디야?” “와? 혼자 지금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불법’ ‘사태 벌어지다’가 보여주는 두려움 이야기를 더 넓은 단계로 확장해보자. 우리 사회는 AI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인공지능(AI)’이란 단어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언급됐는지 분석해봤다. 과학동아가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의 긍부정 분석 기능은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했다. 인간과 기술, 물질이 영향을 주고받은 흥미진진한 복선들을 이 책에서 만나보자. ‘LIVEWIRED’. ‘생후배선’으로 번역되는 이 말은 저자가 뇌 가소성(Brain Plasticity)의 의미에 한계를 느껴서 새롭게 만든 용어다. 전구에 불이 켜지려면 전기 배선이 서로 연결돼야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 뇌는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부위에서 맡아 처리한다. 길을 걷다 만난 친구 ‘말똥이’를 알아보는 과정을 예로 들어보자. 망막에 맺힌 시각 정보는 뇌 뒤쪽 후두엽의 1차 시각피질(Visual cortex)로 전달된다. 여기서 시각정보는 V1, V2, V3 등 시각피질의 다양한 영역을 순서대로 거치며 다시 뇌 앞쪽으로 전달된다. 시각정보가 가장 ... ...
- [똥손 수학체험실] 세뱃돈 절/대/사/수! 복주머니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기다렸던 설날 세뱃돈, 흐흐. 복주머니를 만들어서 잃어버리지 않게 잘 보관해 보자고요. 예쁜 복주머니의 비결은 바로 분수 설날엔 새해를 건강하고 즐겁게 지내라는 의미에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를 나누지요. 나이가 어린 사람은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절을 올리고, 나이 많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