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직후부터 다솔의 고유 주파수를 세계 연구자 네트워크에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함께 찾아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전 세계 지상국 300여 곳에서 교신을 시도했지만 다솔의 신호는 잡히지 않았습니다. 사실 도요샛 개발에 관여한 모든 연구원들에게 다솔은 가장 정든 위성이었습니다. 총 4기의 위성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관계를 한번 관찰해 보는 것도 색다르게 폴리스틱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랍니다! 알아보자!피라미드 만든 230만 개의 거대 돌, 어떻게 옮겼을까? 지난해 8월, 프랑스 유럽환경지구과학 연구교육센터 하데르 세이샤 연구팀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피라미드의 건축에 사용된 돌이 어떻게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게임을 가르쳤단 것일까. 연구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퐁을 플레이한다고 상상해 보자. 인간이 게임 화면(자극)을 눈으로 보면(입력), 뇌에서 판을 어디로 움직일지 결정한다(처리). 그리고 손으로 방향키를 조작해(출력) 판을 움직인다(반응). 자극-입력-처리-출력-반응, 이것이 게임을 ... ...
- [도전! M 체스마스터] 누가 더 많을까? 공격 VS 수비 계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만약 수비수가 더 많다면 공격에 나서지 않아야 하지요. 공격수와 수비수를 세어 보자! 흰색 팀이 d5에 있는 검은색 폰을 공격하려고 해요. d2의 흰색 룩으로 폰을 잡으면, 곧이어 d8의 검은색 룩이 d5에 있는 흰색 룩을 공격할 수 있어요. 그러면 다시 d1의 흰색 룩이 d5에 있는 검은색 룩을 공격하게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4억 7000만km, 6개월간 날아가는 ‘인내’의 여정 머스크의 계획을 따라가며 상상해보자. 지금은 2050년, 당신은 스타십에 탑승해 발사를 기다리고 있는 승객이다. 우주선에는 당신을 비롯한 승객 100여 명과 식량, 생필품, 그리고 화성에서 사용할 다양한 자재가 들어있다. 잠시 뒤 우주선이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문법으로 수식을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QR코드를 찍어 알아보자. 또한 문제를 제시한 뒤, 풀이 방법을 설명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또 풀어줘’라고 물어보면 챗GPT는 같은 문제에 대한 다른 풀이를 계속 제시한다. 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우주조약은 특정 국가가 화성의 영역을 전용하는 건 확실히 금지한다). 자, 이제 골라보자. 어디에 터를 잡을까. 당신의 선택에 도움이 될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01 물만 채우면 여기가 한강 뷰 | 거짓말에 넘어가지 말 것 큰 문명은 큰 강 주변에서 탄생한다. 중국 황하 강에서는 황하 문명이, ... ...
-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가문은 지금까지 다섯 개나 받았다는데 사실일까? 마리 퀴리의 노벨상 메달부터 따져보자.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마리 퀴리는 1903년 물리학상, 1911년 화학상으로 2개의 메달을 받았다. 다음으로 남편 피에르 퀴리.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은 남편 피에르 퀴리와의 공동 수상이었으므로 남편도 노벨상 ...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항상 소수 의견이었던) 가설을 지지했다. 이 가능성에 관해 야스히로 교수에게 물어보자, 그는 확실하게 선을 긋는 대답을 했다. “이번 연구는 생명을 구성하는 유기물이 외부에서 원시 지구로 유입될 수도 있었다는 뜻입니다. 소행성에 유기물이 존재하는 것과, 생명의 기원이 우주에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확보한다. 200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이 진행한 호기심 실험을 예로 들어보자.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은 20대 성인 19명을 대상으로 상식 퀴즈를 진행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노래하는 듯한 소리를 내는 악기는 무엇인가요?’(정답: 바이올린)와 같은 질문을 화면에 보여준 다음, 해당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