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방향 패턴을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걸까? 그 원리는 바로 ‘대칭’에 있다. 모든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 ...
- 배가 산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갑문으로 들어가요. 이번에는 반대로 물을 빼 내려가며 갑문을 통과합니다. 운하의 모든 갑문을 통과하면 마침내 반대쪽 바다로 들어갈 수 있어요. 이러한 ‘갑문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물은 가툰 호수에서 끌어 쓰고 있습니다. 평평한 보통 운하와는 다르게, 파나마 운하에는 여러 개의 갑문이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관련된 유전자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발현됐다. 인간의 전뇌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는 모든 팔의 중앙에서 확인됐다. 그리고 머리에서 발현되는 많은 유전자가 불가사리 전체에서 보이는 반면, 몸통과 관련된 유전자는 팔 가장자리에서 단 하나가 발견됐다. 연구를 진행한 로랑 포머리 스탠퍼드대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름은 약 10억 광년에 달한다. 그런데 초은하 평면에서 이상한 경향성이 발견됐다. 모든 종류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할 것만 같던 초은하 평면에서 유독 타원은하만 눈에 띄고 원반은하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었다. 틸 사왈라 핀란드 헬싱키대 물리학과 연구원이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이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큰 비용 투자가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더 효율적인 연산 기술을 찾는 것이 모든 AI 과학자들의 공통된 목표가 될 것”이라며 “자본이 풍부한 빅테크 기업이 이번에도 그 선두에 서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말했다. AI가 연산할 때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가격도 만만치 않다. 앞서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미치는 영향, 인체독성, 담수 생태독성, 화석연료 고갈 등 7가지였다. 그 결과, 모든 환경영향 척도에서 다회용컵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 일회용컵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보다 환경에 영향을 덜 미친다는 것이 드러났다. 단, 컵 하나를 1년간 40회 이상 사용하고, 컵의 수명은 3년이라는 전제조건이 ...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타낼 수 있다. 즉 1, 2, 3, 4, 5, 7, 8, 10, 11, 13, 14, 16, 17, 19, 22, 23, 25, 28, 31, 34, 37, 43을 제외한 모든 자연수는 맥너겟 상자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이 수를 맥너겟 수라고 한다. 맥너겟 수에 맥너겟 수를 더하거나 곱해도 맥너겟 수다. 그렇다면 맥너겟 수가 어떻게 동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쓸 수도 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요리할 수 있도록 단위를 변환하고 양을 계산하는 것은 모든 요리사가 갖춰야 하는 기본 소양이다. 까다로운 칠면조 조리 시간, 함수로 정한다 칠면조 구이는 미국과 유럽에서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같은 명절을 기념하며 즐겨 먹는 대표적인 요리다. 하지만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짝지어 해결했다. 2012년 수학자 그렉 프레드 릭슨은 8보다 크거나 같으며, 4로 나뉘는 모든 수에 대해 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명 ‘피자 정리’! 중심을 어느 곳으로 잡든 일정한 각도로 자르면 n명이 4n 조각을 똑같은 양으로 나눠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짧은 순간을 위해 1, 2년 동안 수많은 고민과 도전, 그리고 좌절을 겪어요. 그렇지만 그 모든 작업이 모여서 하나의 결과를 찾고 증명해내는 쾌감이 진짜 커요. 마치 축구에서 골이 들어가는 순간처럼요. 선수들은 이 한 골을 넣기 위해 끊임없이 뛰어요. 골을 못 넣을 때도 있지만, 어쩌면 그렇기에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