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
냉
d라이브러리
"
끌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궁 주몽에서 찾은 힘의 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시원하게 달리는 개썰매는 한 마리보다 두 마리가
끌
때, 두 마리보다는 세 마리가
끌
때 더 빨리 달린다. 이걸 힘으로 이해하자면, 썰매를 끄는 개가 많아질수록 개 한 마리당 힘이 계속 더해져서 더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과학에서는 이렇게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더한 값을 ... ...
아프리카 특급열차 '싸빠리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직선으로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이젠 차량에 화재까지? 어떤 버튼을 눌러야 불을
끌
수 있을까? 조금 뒤면 다른 여러 곳까지 불이 번질 것이다. mission 3열차를 끊어 테러범 제거?!썰렁홈즈의 재치 있는 대응으로 열차 화재를 간신히 막을 수 있었다. 스피커를 통해 방송은 계속 흘러나왔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화학)을 알아내며 말라리아모기가 냄새나는 발과 벨기에산의 연한 림버거 치즈에 똑같이
끌
린다(생물)는 점을 증명한 업적에 올해 이그 노벨상이 돌아갔다.“과학에서 가장 흥분시키는 어구는 ‘알았다(Eureka)!’가 아니라 ‘그것 참 재밌네!’다”라고 하던 아시모프의 말이 떠오른다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8명의 노동자가 소비하는 식품을 사는 것과 같은 비용이 들었다. 선로 위에서 화차를
끌
기관차가 발명된 것은 말을 먹이는 사료 값이 너무 비싸다는 문제에서 비롯됐다. 산업혁명의 기반, 열강의 검은 손철도가 등장한 핵심적인 이유는 산업혁명 시기에 대량수송을 위해 혁신적 운송수단이 ... ...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얻는 방식이다. 고체로켓은 구조가 간단하며 연료를 저장하기 쉽지만 한번 불이 붙으면
끌
수 없다. 즉 연료가 다 탈 때까지 로켓주먹이 날아다녀야 한다는 게 문제다. 추진력을 조절하기도 힘들고 1회용 로켓주먹이 된다. 한번 발사하면 다시 고체연료를 넣어야 하니까.그렇다면 액체로켓은 어떨까.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인해 코로나가 대단히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음이 알려졌고, 점점 더 사람들의 주목을
끌
게 됐다. 이 일식에서는 태양 가장자리에 보이는 불꽃 모양 가스인 홍염도 관측됐다. 당시 사람들의 놀라움은 대단했다.그 뒤로 이어진 태양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또 하나 있다. 바로 윌리엄 허긴스.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마 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불을 내고 만 것이었다.불이 옮겨 붙은 곳은 20군데. 한 개의 소화기로 3군데의 물을
끌
수 있지만 3군데 중 한 곳의 불이 다시 붙는다고 한다. 20군데의 불을 모두 끄려면 과연 몇 개의 소화기가 필요할까? 빨리 소화기를 가져다가 불을 끄지 않으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상황이었다. 당황한 썰렁 홈즈. ... ...
소행성 끄는 중력 트랙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방향으로 벗어난다. 루와 러브 박사는 “20t의 중력 트랙터가 지름 200m 크기의 소행성을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중력 트랙터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소행성이 지구에 부딪히기 20년 전부터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연구진은 “현재의 화학연료 엔진으로는 이런 작업이 어려워 원자력을 이용한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47초 | 박찬호가 던진 공이 타석에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1.3초 | 디지털카메라를 켜고
끌
때 걸리는 시간9.77초 | 자메이카의 아사파 파월이 갱신한 육상 남자 100m 세계신기록(2005년 6월 기준)20초 | 정자가 1mm를 이동하는 시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당신의 순간은 ... ...
인도에 비 없는 여름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켜지듯 생겼다가 사라지는 두 가지 상태가 있다”며 “인간의 잘못된 활동이 스위치를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육지에 닿는 햇빛이 크게 줄어들면 온도가 낮아져 계절풍의 흐름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크펠트 박사는 “인도 지역이 급격히 공업화되면서 미세먼지가 늘어나는 등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