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끌"(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방식은 LED 광원을 90개 영역으로 나눠 밝게 표현해야 하는 부분만 켜고 필요 없는 부분은 끌 수 있다”며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명암 비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상부분제어 기술을 활용하면 화면 전체의 LED를 켤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 형광램프를 사용할 때보다 ...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과학동아 l2009년 06호
- 화석을 발굴하는 데 약 한 시간이 걸린다.점토블록을 부술 때는 깨뜨리고 싶은 부분에 끌을 대고 그 뒷부분을 망치로 두드린다. 공룡 화석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힘을 주면 부서질 수 있다. 화석이 어느 순간에 어디서부터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조심조심 깨뜨리는 재미가 쏠쏠하다.화석이 ...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중세의 수비학(數秕學), 악마의 환약통 등 독자의 관심을 끌 다양한 소재들이 스토리 전개 과정 곳곳에 녹아 있어 읽는 재미를 더한다.수면연구나 정신분석학, 뇌과학의 최신 동향에 대한 정보를 쉽고 재밌게 접할 수 있는 점은 또 다른 매력이다. 저자는 오랜 연구 ...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1호
- 끌끌끌…. 뭔가 고민하고 있는 친구! 고민하지 말라니까. 어차피 머리만 아플 뿐이야. 포기하고 불행을 받아들이라구~.아, 나는 누구냐고? 누구긴! 이 세상이 불행에 빠지는 날까지 불행을 전하려고 불철주야 노력하는 불행바이러스지!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 남의 행복이 나의 불행~!그런데 말이야,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생성 원리뿐 아니라 무선 전송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전시물로 많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 것”이라고 말했다.총 4203점에 이르는 흥미진진한 전시물로 가득한 국립과천과학관은 대지면적 24만 3970m2에 지하 1층~지상 3층으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전시면적도 본관 전시시설만 1만 9127m2로 미국 ...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몇 가지 문제점만 해결된다면 하이브리드자동차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미래를 이끌 유력한 친환경 자동차랍니다. 그러면 이번 코스의 선두 주자들을 살펴볼까요?차세대 연료전지차혼다 FCX에 장착된 새로운 연료전지는 영하 30℃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며, 350기압으로 압축한 수소를 5㎏까지 ...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관리하고, 그래도 불이 났다면 작은 불꽃일 때 꺼야 한다. 처음에는 소화기 한대로 끌 수 있는 작은 불도 소방대원들이 출동하는 몇 분 사이에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중요한 건물이나 문화재에는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화재경보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 ...
- 고그린맨의 모험 - 제7화 고그린맨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준답니다, 기억하세요!) 워터우먼의 물과 자신의 그린콥터를 이용해서, 고그린맨은 불을 끌 수 있었어요.산 끝 부분에 다다랐을 때, 고그린맨은 엄청난 광경을 보았어요. 거대한 커튼이 바람을 막고 있는 것 같았지요.(물을 막는 댐처럼, 단지 이 커튼은 바람을 막는 거였죠.) 고그린맨은 초록마을의 ...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은 130km를 떠다녔다.실제 조사에는 비디오카메라를 장착한 무인잠수정(ROV)과 저인망(바닥 끌그물)을 이용했다. 빙산으로부터 반지름 9km 이내에서 바닷물 표본을 수집해 해양생물의 종류와 분포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빙산에서부터 3.7km 근처까지는 식물플랑크톤, 크릴새우(남극새우), 어류, 바닷새가 ... ...
- 박태환 막판 추격의 비밀과학동아 l2007년 05호
- 그런데 갑자기 물보라를 일으키며 물살을 가르기 시작하더니 다른 선수들을 뒤에서 잡아끌 듯 하나둘 따라잡고 기어이 1위로 골인했다.박태환은 키가 183cm로 은메달에 그친 호주의 그랜트 해킷(197cm)이나 동메달을 딴 튀니지의 우사마 멜룰리(189cm)에 비해‘왜소한’편이다. 키가 10cm 작으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