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후
뒤쪽
후방
뒷면
뒷전
등뒤
배면
d라이브러리
"
이면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08
연구원들은 위성기술을 하나라도 더 배우기 위해 영국인들이 쓰레기통에 버린 낙서나
이면
지에 쓰인 내용까지 몰래 살펴봤다고 한다. 그리고 이듬해 이렇게 습득한 기술을 토대로 한국이 독자 제작한 우리별 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한국의 인공위성 연구원들과 조선시대 천문관들의 노력이 ... ...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07
수 있다”고 염려했다.우리가 꿈꾸는 해적의 삶은 깃털처럼 가볍고 자유롭다. 비록 그
이면
에는 질병과 배신, 음습한 고독이 웅크리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류시화 시인은 ‘길 위에서의 생각’이란 시에서 ‘집이 없는 자는 집을 그리워하고 집이 있는 자는 빈 들녘의 바람을 그리워한다.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04
보통 금속은 원자가 규칙적으로 늘어선 결정구조로 되어 있으나, 고온하에서 녹
이면
원자배열이 무너져 비결정질이 된다 이것을 보통의 방법으로 냉각시키면 원래의 결정질 구조로 되돌아 가지만, 매초 10만∼1백만℃ 정도 초고속냉각을 시키면 비결정질인 채 굳어버린다 이와 같은 아모퍼스 금속은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02
짧게는 수년, 길게는 수백년 뒤 변화도 알 수 있습니다. 컴퓨터 안에서는 수분~수시간
이면
5년, 10년 뒤 실제로 공장이 어떻게 운영될지 시뮬레이션이 끝나거든요. 예전에 어떤 교수님은 세포공장을 지어달라고 요청한 적도 있습니다. 컴퓨터 안에서 가상세포를 키우는데, 이 세포를 배양하고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01
다량의 세포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치사량: 청산가스라고 불리는 시안화수소는 300ppm
이면
인체에 치명적이다.폴로늄210은 시안화수소보다 약 2500억배 독성이 강하다.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욕 태생 콜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후 모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어 중성미자(中性微子)의 실체에 관해 연구했다 ... ...
두근두근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
존재했다는 증거는 더더욱 없다. 수수께끼 4화성에 어떻게 갈 수 있을까언제쯤
이면
인류가 직접 화성에 갈 수 있을까.계획대로라면 2020년이다. 미국 정부는 2008년 차세대 우주탐사선을 개발해 먼저 2015년까지 달에 보내 달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여기서 경험을 쌓아 2020년에는 화성에 인류를 ... ...
통신대란 예측하는 법
과학동아
l
200610
하자. 이 식은 평균 통화량은 50인데, i일이 월요일
이면
통화량이 2만큼 증가하고 휴일
이면
1.5만큼 감소한다는 의미다. 이때 월요일 여부(${X}_{1i}$)는 통화량(${Y}_{i}$)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반면, 휴일 여부(${X}_{2i}$)는 통화량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한다.회귀분석은 영국의 유전학자이자 ... ...
지구속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
수평선 너머에서 항구로 다가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인공위성 사진 한 장
이면
해결될 문제지만, 과학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과거에는 이렇듯 오랜 시간이 걸려서야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알아 낼 수 있었다.그렇다면 지구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지구 속으로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08
때 자가수분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반면 양친 중 한쪽이 자가불화합성이나 웅성불임
이면
타가수분을 통해 균일한 품종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이 같은 특성을 지닌 기본종을 갖춘 곳이 소수에 불과하며 파프리카는 아직도 사람이 가위로 수술대를 잘라 웅성불임으로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08
하지만 커다란 망원경만이 천문학을 발전시킨 것은 아니다. 망원경에 보이는 현상의
이면
까지 꿰뚫어 보거나 근시였지만 망원경의 성능까지 검증한 사람도 있다.17세기에 멀리 있는 물체를 가깝게 보여주는 망원경이 발명된 뒤 천문학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눈으로는 하나의 점으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