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보는 노벨상 '울프상'에 RSA 개발자·광유전학 권위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2021년 광유전학을 통해 수십 년 만에 시각장애인 환자의 시력을 회복하게 한 연구로
큰
주목을 받았다. 광유전학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실제 효과를 본 거의 최초의 사례다 ... ...
[화보] 이글거리는 '태양 항해하는 고래'…올해의 천문사진 후보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많다. 이중 타이탄과 엔셀라두스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천문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사진에는 타이탄, 테티스, 레아, 엔셀라두스, 미마스, 디오네 등 위성이 희미하게 사진에서 빛난다. 켈빈 헤네시 제공 국제우주정거장(ISS)이 51%만 보이는 달을 통과하고 있다. 이 사진을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있다. 라이고가 검출하는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중력파를 검출하면 에너지가 더욱
큰
천체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별에서 파생된 블랙홀이 병합돼 커지거나 초거대블랙홀이 충돌하는 현상을 주파수가 낮은 대신 파장이 긴 중력파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 ... ...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박남규 "연구비 적게 깎였다고 '축하한다' 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것이다.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전환 효율과 안정성이 높아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광전환 효율 9.7%를 달성했고 500시간 이상 대기 중에 노출돼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의 논문은 올 4월 기준 8300회 이상 인용될 정도로 태양광 산업 발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틈새에 액체 금속·셀룰로오스 넣어 강력해진 나노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특성이 뛰어나 전자장치나 항공우주 분야에 유망한 소재지만 나노시트를 모아 더
큰
필름구조로 만들면 빈 공간이 많이 생겨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쿤펑 청 중국 베이항대 화학과 교수팀은 미생물 셀룰로오스와 액체 금속을 맥신 나노시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추가해 고성능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사람들로 채우고 나머지 50%는 자신과 다른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로 채우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 연구자들은 모두가 비슷비슷한 사람들로만 구성된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은 사람이 필연적으로 배척당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서로 다양한 사람들이 섞여서 살 ... ...
뎅기열에 걸리면 열이 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06
방글라데시 같은 더운 국가와 맞닿아 있어 태평양이나 대서양보다도 열대 지역의 기온에
큰
영향을 미치죠. 연구팀은 인도양의 해수면과 뎅기열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연구팀은 1990~2019년 동남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46개의 국가에서 발병한 뎅기열 자료 등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 ...
'하마가 날았다'…달릴 때 0.3초 공중에 뜨는 하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정상 패턴과 비교해 임상적인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
큰
동물이 육지에서 움직이는 것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며 "공룡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대형 육상 동물의 이동 방식 진화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7717/peerj.1767 ... ...
또다른 암 치료 도구 '수리종양학'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신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암 진행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수리종양학'이 이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건국대 서울캠퍼스에서 열리는 '국제수리생물학회(SMB)' 참석을 위해 서울을 찾은 알렉산더 앤더슨 미국 모핏 암센터 교수를 2일 만났다. 미국에서 암 연구의 선두 의료기관으로 ... ...
잇따른 화재 유발…폭발 없는 리튬 전지는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노력을 하고 있다. 먼저 가장 문제가 되는 분리막 손상을 막기 위해 기계적 강도가
큰
세라믹 입자를 코팅해 분리막의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해액을 난연성·불연성 물질로 바꾸거나 끓는점이 높은 용매를 써 전지 내부 증기 발생을 줄이는 시도도 있다. 폭발 위험이 거의 없는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