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출산 시기도 함께 늦어지고 있다. 나이 많은 아빠가 늘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아빠 회춘 프로젝트라도 가동해야 할까.모두 젊은 아빠가 좋고 나이든 아빠는 나쁘다고 생각한다. 늙은 아빠, 나이 많은 아빠로 검색을 해도 그리 좋은 이야기는 쉽게 나오진 않는다. 나이 많은 아빠의 아이가 조울증에 잘 ... ...
- Interview 서거석 대교협 신임 회장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기업이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부 차원에서 이공계 우수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학 특성화 사업을 통해 명품 이공계 학과를 발굴하고 세계적 수준으로 지원하거나 이 학과에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급해 우수 학생들을 유인해야 ...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불과했다. 실험장은 원숭이 배설물로 가득해 더 이상의 실험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에이미 플라우맨 동물학 박사는 수학적 이론과 현실은 차이가 크다고 소감을 말했다.이게 뭐야? 온통 원숭이 똥 천지라고! 원숭이들이 쓴 원고량 보다 똥이 더 많아. 보렐, 이거 어떻게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말하면 알아서 데려다 주고 주차도 해준다. 구글 글래스와 무인자동차는 ‘구글 X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다.미래 공상 영화에서나 볼 법한 일들이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다.지난 2월 구글 취재를 준비하던 중 구글이 미국인을 대상으로 구글 글래스 테스터를 모집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개개인 대신 대중의 무의식이 가진 힘을 증명하기 위한 대규모 실험으로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GCP)를 실행했다. 1998년부터 연구팀은 미국과 유럽 등 세계 70여 곳에 REG를 설치하고 매 초 단위로 얻는 데이터를 프린스턴대 서버에 모았다.11년 뒤인 2009년, 연구팀은 대선, Y2K, 월드컵, 9·11테러 등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데 활용하기 좋다. NASA도 사운딩 로켓 프로젝트에 고등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했다. NASA와 함께 연구장치를 개발하고 발사에도 참여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대학에서 로켓을 전공하는 학생에게도 사운딩 로켓은 좋은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소행성을 찾는 일에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TNet 프로젝트란 칠레, 호주 등 남반구에 지름 1.6m급의 거대 망원경을 설치하는 계획으로 남반구의 별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 남반구의 밤하늘은 아틀라스의 망원경이 볼 수 없는 곳이다.세계 여러 나라들이 힘을 ... ...
- [수학뉴스] 48번째 메르센 소수 찾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중 가장 큰 소수를 찾아 냈다고 밝혀 화제다. 지난 2월 쿠퍼 교수는 ‘메르센 소수 공동 프로젝트(GIPS)’를 통해 자릿수가 무려 1742만 5170자리 인 소수 ‘257885161-1’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가장 큰 소수는 2008년 에디슨 스미스에 의해 발견된 ‘243112609-1’로, 자릿수가 1297만 8189자리다. 두 ...
- 해부동아리 ‘의초’를 해부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환경을 가했다. 이 쥐들을 18일 동안 학생들이 직접 키웠다. 2학년 이하민 학생은 쥐 실험 프로젝트를 설명하면서 이 활동이 가장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해부해보니, 살충제에 노출된 쥐는 간의 색이 정상에 비해 검고, 스트레스를 받은 쥐는 상대적으로 위가 컸어요. 그냥 해부가 아니라 변화를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이끌어 냈다.실제로 전쟁 종료 후에 당시 영국 수상이었던 처칠은, 영국의 암호해독 프로젝트인 ‘울트라’가 없었더라면 영국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일은 지금도 수학자가 전쟁을 바꾼 일화로 회자되곤 한다. 컴퓨터의 발명을 이끈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