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아무도 시도해보지 않았던 해외 프로젝트에 겁 없이 도전하는 도전정신이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외국인과 함께 일하는 데 거부감이 없는 학생이 들어왔으면 좋겠네요.” 창의성이나 미적 감각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예전에는 시설물을 최대한 ... ...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서, 영향력이 큰 동물을 중심으로 보호하자는 프로젝트가 시작됐어요. 혹시 ‘젠가’라는 보드게임을 해 보았나요? 나무 조각을 계속해서 빼도 괜찮다가, 결정적인 한 조각 때문에 와르르 무너지죠? 생태계에도 이런 핵심 조각이 있다고 생각한 거예요.영국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른 쪽 뇌로 전달하지요. 한쪽 뇌의 생각대로 다른 쪽 뇌에서 반응한다고 해서 ‘아바타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였답니다. 특집 한걸음 더동물과 소통하면 사람은 더 행복해진다지금까지 ‘미래를 위한 사람과 동물의 소통 방법’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사람 대표인 몽은 동물과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현재까지 연구자 80여 명이 소스코드를 개발하는 데 기여했고, 50여 개 연구실이 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매년 열리는 참 개발 회의에서 참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고 있다.컴퓨터가 발전하는 만큼 참을 사용해 할 수 있는 연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70년대 중반 원자 892개로 이뤄진 BPTI라는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찾는 계기가 됐다. 바로 노화를 정복해보고 싶다는 꿈이다. “당시 1983년부터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회자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게놈이라는 것을 완벽하게 다 컴퓨터로 분석해서 이해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고2 때 게놈 연구를 해야겠다는 결정을 했습니다. 그 때 8비트 컴퓨터가 처음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리대(SSTL)와 기술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바라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기술이전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포르투갈, 터키, 알제리 등 10개국처럼 영국 서리대로부터 위성 개발 기술을 제대로 배울 수 없었던 것이다. 쎄트렉아이는 말레이시아 정부에 위성을 함께 개발하고 그 기술을 함께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완성해 냈다. 또 이런 과정에서 바이오디젤의 사회 정착을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실험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과학자로서 검증작업에 참여하는 등, 바이오디젤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전파하는데 애써왔다.특히 그는 함께 바이오디젤 문화 정착에 힘써온 과학자 두 명을 함께 소개했다. 대체에너지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괴로울 정도로 의욕적이었다. MIT에서 인공지능도 배우고, 그들이 자랑하는 미디어랩의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며 바쁜 나날을 보냈다. 하지만 한편, 간섭하지 않고 지도도 해주지 않는 '완전 방임형'의 연구실 분위기 때문에 힘들기도 했다.“한 달 동안 집 밖으로 안 나간 적도 있어요. 뭔가 해내면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실험 비용도 3분의 1 정도로 낮췄습니다.어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가요? 슬로싱 연구 이외에도 바다의 구조물이나 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 해양에너지 관련 해양플랜트 연구, 친환경 선박 연구, 해군의 차세대 함정 관련 연구 등을 하고 있습니다.어떤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로켓 추진기관 연구였다. 그의 특기인 CFD 기술을 살려 한국형 로켓 개발의 ‘엔진 설계’ 프로젝트를 맡았던 것이다. 한국의 실험용 로켓은 항우연이 처음 개발했던 KSR-I, 그 후속모델인 KSR-II는 모두 고체로켓이었다. 고성능 우주로켓을 개발하려면 액체로켓 기술이 꼭 필요했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