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별 우주 기네스]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있어요. 각각의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별은 지구와 가까울수록 우리 눈에 더 밝게 보이고,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더 어둡게 보여요. 거리가 멀어질 때마다 그 거리를 두 번 곱한 만큼 어두워지지요. 예를 들어, 거리가 2배 멀어지면 4배만큼 어두워지고, 3배 멀어지면 9배만큼 ... ...
- [수콤달콤 놀이북] 어디에 숨었나? 비와 비율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 본책 26쪽과 함께 보세요! 은행뿐 아니라 우리 생활 곳곳에서도 비와 비율이 쓰여요. 어디에서 비와 비율을 찾을 수 있을까요?여러분 주변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
- [특집] 문명 전문가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달려들어 누가 먼저 해독하는지 경쟁을 벌여요. 해독이 비교적 쉬운 유물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언어와 같이 쓰여 있는 거예요. 로제타석이나 베히스툰 비문처럼 말이죠. 유물이 발견된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흐름을 거꾸로 올라가 보면서 발음을 유추할 수도 있어요. 아예 단서가 없는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6장. 괴델 수와 모순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불완전성을 보여 줄지언정, 수학 체계의 불완전성을 보여 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수학 체계의 불완전성을 보이고 싶다면 문장 p를 수학의 언어로 번역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수학자는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수학의 언어는 기껏해야 숫자와 기호뿐인데, 단순한 ...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선배보다 밝은 눈으로 본 대마젤란 은하 공개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중적외선 관측기기(MIRI)로 촬영한 대마젤란 은하의 사진을 공개했다.대마젤란 은하는 우리은하에 속한 작은 위성은하로, 별이 높은 밀도로 뭉쳐있어 제임스웹 망원경의 성능을 확인하기 좋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에서는 별 사이의 ʻ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방출되는 모습이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 ...
- [가상인터뷰] 꽃향기를 실시간으로 본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매 시간마다 포집해야 해서 꽃이 연속적으로 향기를 뿜어내는지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우리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를 사용해서 백합이 향을 내뿜는 빈도를 측정했다.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주변 공기의 굴절률을 측정해서 차이를 비교했다. 분석을 통해 휘발성 증기가 점점 늘어나서 쌓이는 것을 ... ...
- [특집] e스포츠 경기장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만들어졌다. 포스텍 학생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취미를 물어본 끝에 e스포츠를 골랐고, 우리은행의 도움으로 경기장을 지었다. 경기장 디자인과 운영 방식은 교내 e스포츠 동아리 ‘포텐셜’과 학과별 자치회가 정했다. 실제로 총장 배 리그오브레전드 결승전을 보니 어뮤즈먼트 포스텍이 통한 ...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컴퓨터로 봤던 사주팔자가 더 정확할까?이영도의 SF소설 ‘별뜨기에 관하여’는 지금 우리보다 더 적극적으로 점성술을 활용하는 존재가 나온다. 예를 들어, 사주에 맞춰 아이를 낳듯이 태어날 아이에게 좋은 팔자를 마련해주기 위해 초광속 우주선을 타고 원하는 별자리가 보이는 곳에 가서 아이를 ... ...
- Z세대의 사진, 쇼핑 소셜앱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개수를 종합해서 순서대로 보여주는 알고리즘이 핵심이야. 최신순서로 올라오는 것보다 우리 Z세대의 취향에 맞는 옷들을 빠르게 훑어볼 수 있지. 게시물을 여러 개 보다 보면 내가 본 옷 스타일과 비슷한 스타일도 추천해줘. 동영상을 추천해주듯 패션을 추천해주는 거야 ... ...
- [융복합@파트너] 까치 둥지를 보면 기후변화가 보인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생각이 들거든요. 동물과 사람이 같은 공간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게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