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뇌에 있는 혈관만 찍은 영상과,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의 영역만을 찍은 영상도 만들 수 있게 됐지요.단점도 있어요. 지금까지 개발된 MRI 해상도는 최대 1~3mm예요. 하지만 신경세포를 관찰하려면 해상도가 수nm(나노미터, 10-9m)까지 좋아야 하지요.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조직을 소금 용액에 넣어 미라로 만들면서, 그 과정을 당시에는 없었던 최첨단 현미경과 영상 기술로 세세히 기록했다. 섬뜩한 연구를 주도한 자연인류학자 크리스티나 파파지올고풀루박사(사진)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 Q 연구 결과가 학술지 ‘해부 기록’에 실렸다. 연구의 성과는?A 시신의 다리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 결과는 어땠을까. 2013년, 구글 인공지능은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1000만 개 이상의 동영상 가운데 고양이를 골라냈다. 정확도는 70%에 달했다. 미국 스탠포드대 앤드류 응 교수와 구글이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였다.데이터가 쏟아져 나오던 시기, 하드웨어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딥러닝을 ... ...
- ‘조울조울’ 감정 기복 심한 사람 유전자부터 다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관성이 있는지 실험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인 영상을 각각 보여준 뒤 감정을 조절하는 뇌 부위의 활성도를 촬영했다. 그리고 이것을 참가자들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비교했다. 비교 결과 연구팀은 ‘ADRA2b’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외형 역시 레이저 빛을 쪼여 가공한 것이고요. 가상현실 게임이나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도 모두 빛으로 이뤄집니다. 스텔스 전투기나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는 또 어떻고요. 다 얘기하자면 밤을 새야할 걸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뒷장으로 이동하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7호
- 7장을 벌집 모양으로 연결해 만든 GM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HST)보다 10배나 선명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GMT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카네기 연구소의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금연을 결심한 참가자 85명을 모집해 금연 결심 한 달 뒤부터 10주간 뇌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촬영했다. 이들 중 44명이 금연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금연에 성공했는데, 연구팀은 금연에 성공한 참가자들에게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뇌 활성을 발견했다. 중독, 배고픔과 같은 신체 내부 감각을 ...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랜섬웨어가 주로 플래시를 이용해 퍼지기 때문에, 플래시 광고나 영상은 보기 전에 한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출처를 알 수 없는 e-메일을 열지 않는 건 기본 수칙이다.기본적인 수칙들만 잘 지켜도 여러분의 파일은 무사하다. 매번 이런 수칙을 떠올리고 실행하는 게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지구에서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 그러니까 우리가 보는 영상은 로버가 3초 전에 찍은 영상이 될 거예요. 7분이 걸리는 화성에 비하면 로버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셈이지요. 그래서 로버는 자동운전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이 직접 실시간으로 조종할 예정이에요.하지만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인식 이 부정확해지고, 사용범위가 매우 좁다.좀 더 정교한 기술은 없을까. 임화섭 KIST 영상미 디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키넥트로 손가락 관절을 정확히 추적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두 가 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3D모델을 만들어 다양한 손 동작을 취하게 하고, 실제 손동작과 비교하는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