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지만, 정보 제공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당뇨 전문가인 조 교수는 내과에서 당뇨 환자들의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환자들과 수시로 소통했던 경험을 적용했다. 이용자들에게 설문조사를 보내 상태를 파악하고, 매일 안부 메시지와 음악,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신종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새로운 백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국내에서도 동물실험 수준의 연구 성과는 많지만 아직까지 대규모 임상시험 단계에 진입한 것은 없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과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 ◆새들은 왜 조류 인플루엔자백신을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결합재를 굳히는 데 응용했다. 그 결과 시멘트보다 저렴하고, 강도는 시멘트를 대체할 수준이었다. 현재는 다양한 조합의 화학 물질들을 이용해 결합재를 발전시키는 중이다.건설재료 미세구조 연구도 병행해대부분의 국내외 건설재료 연구실들은 여기서 소개가 끝나겠지만, 오 교수의 연구실은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약 2~3주 전에 백신을 맞아야 예방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가별 의학연구 수준에 따라 인플루엔자에 대한 데이터가 천차만별이다. 북반구에서는 미국과 유럽, 중국 등에서 전 해에 유행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확보해 유전적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처럼 의학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특수학생에 맞는 수업을 개발했다.선혜학교의 고등학생은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수준이 비슷해서 윤 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초등학교 저학년 SW 수업을 많이 참고했다. 그 결과 교사도 보람 있고, 학생도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만들 수 있었다.교사의 노력은 필수대개 학생들은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장 멀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인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전력량은 많아야 수백 W 수준이기 때문이지요. 물론 이론적으로는 발전소에서 바로 집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우주의 힘까지 모아그렇다면 발전소를 우주에 띄워 빛을 전력으로 바꾸고, 무선으로 지구까지 전달하는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많은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데이터 전송 시간을 수 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줄일 것이다. 여기에 VR 기술까지 접목하면, 아주 먼 곳의 일도 마치 눈 앞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뒤, 사람을 대신해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흐르는 게 특징이다. 전압이 높아져도 흐르는 전류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마치 계단 모양처럼 전류량이 급격히 많아지는 소자를 제시한 것이다.만드는 방법은 기존 반도체 공정을 그대로 활용한다. 똑같은 트랜지스터인데 특정 부위에 첨가하는 전자 또는 정공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메이커 운동이 가진 ‘기회의 평등’ 속성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 교육에서는 소득 수준, 젠더, 인종 등 의 여러 가지 장벽으로 과학, 기술과 공학, 수학(STEM)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지 않았다. 하지만 메이커 운동을 통하면 아이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미래를 열어줄 수 있다.뉴욕의 빈곤 지역 중 한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명상을 하기 전 상태와 하고 난 후를 비교하는 종단연구를 하는데 표본 수가 수십 명 수준으로 적고, 비교 방법도 연구마다 제각각이다. 연구 결과가 사후 끼워 맞추기 해석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명상을 하는 수준, 반복하는 횟수도 개인차가 커서 통제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