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과학과 관련이 있는 곳이나 과학관, 유명 대학을 둘러보고 저녁에 모여서 세미나를 하는 수준이었다.실리콘밸리 전문가에게 멘토링 받는 학습캠프동아사이언스와 국내 교육기업인 플로우교육은 진정한 의미의 학습과 진로탐색에 초점을 맞춘 해외캠프를 기획했다.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에 재직 ... ...
- [과학뉴스] 기계연, 움직임 자유로운 발목형 로봇 의족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발목형 로봇의족은 1.4kg으로 실제 발목과 비슷한 무게지만, 바닥을 차는 힘은 세계 최고 수준까지 구현됐다. 발목 관절은 30°까지 움직일 수 있다. 가격은 1500만 원 정도로 시중에 판매되는 로봇의족의 20% 정도다.연구팀은 환자의 보행동작을 정밀 분석하기 위해 3D 모션캡쳐 기술과 지면반력측정기 등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폐에 무해한지 아닌지를 말할 수 없는 단계라는 뜻이다. 이 연구관은 “지금은 실험실 수준에서 부유액 상태로만 활용하고 있지만, 실제 제조공정에서 분말 상태로 이용하면 근로자의 폐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며 “현재 여러 나라가 협력해 안전 기준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줄이는 등의 방안을 도입하고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적인 항생제 연구지원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류 센터장은 “최근에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연구비로 1년에 30억 원씩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게 전부”라면서 “이 돈으로 현재 한국의 가장 많은 세균 10개를 뽑았고, 그것을 빠르게 검출하는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하는 데 수학을 이용합니다. 지휘관으로써 임무를 수행했을 때 위험을 감당할 수준이 되는지, 아군의 피해는 어느 정도가 될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지요. 감당할 수 있으면 작전을 수행하고, 피해가 클 것 같으면 대체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이지요. 시뮬레이션에는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92mg이 아주 적은 것 같지만 그간 밝혀진 플라스틱 생분해 속도에 비하면 획기적인 수준이다.플라스틱 분해 방법 중 가장 빨라2016년 3월 ‘사이언스’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빠르게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일본 교토대 고분자연구소 요시다 쇼스케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포함돼 있는 석영에서 규소를 분리해낸다. 분리된 규소를 불순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수준으로 정제한 뒤 단결정으로 성장시키고, 이를 얇은 원판형으로 가공한 것이 반도체 웨이퍼다. 이를 기판으로 해서 전자회로를 만들고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한다. 우리의 오랜 조상들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마치 두 개인 것처럼 행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doi:10.1038/nature12394). 아직 개체 수준에서의 실험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세포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을 의학에 접목한 과학자들의 상상력과 노력이 대단합니다. 두 번째 질문 튜브가 자라 뇌와 척수로?수정된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를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기압 질량분석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분해능도 수십 μm인 타 기술과 비교해 3μm 수준으로 높였다.연구팀은 수 μm 굵기로 집중시킨 레이저로 실제 암조직과 이와 비교할 정상조직을 기화시켰다. 아르곤 또는 헬륨기체로 만든 플라스마로 조직을 이온화 시킨 뒤, 진공으로 옮겨 질량분석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직접 운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지요. 현재 개발된 무인자율주행 자동차의 수준은 레벨 3 정도랍니다.레벨 4는 완전자율주행차예요. 목적지만 입력하면 운전자는 눈을 감아도 되지요. 레벨 4에 이르려면 최소 5년 이상은 걸릴 거예요.”차의 지붕과 정면에는 눈에 해당하는 레이저 센서가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