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른
성년
대인
성자
성현
거인
군자
d라이브러리
"
성인
"(으)로 총 1,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것은 '알코올'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소련에서 알코올중독으로 죽는 사람들 대부분이
성인
남자인데 1년에 약 4만명이나 된다. 이 숫자는 인구비율로 계산할때 미국보다 1백배나 많은 것이다. 소련의 여자들도 술을 즐겨 그들의 사망원인으로 3번째가 알코올중독이다. 이것은 또 임신장애를 일으켜 ... ...
독서 조명·눈의 피로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세로쓰기 중 어느것이 읽기에 눈의 피로도가 덜한가. 책읽기 좋아하는 학생이나
성인
독서가 모두가 관심이 많은 이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가톨릭대학 의학부 안과학교실 김재호박사팀이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형광등이거나 백열등이거나 광원의 변화는 안정(眼精) 피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 ...
산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흘러나간다는 것이다. 백두산 천지는 물론 대표적인 '칼데라'호에 속한다. 칼데라는
성인
상으로 침식칼데라, 폭발칼데라, 함몰칼데라 및 기타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천지는 함몰칼데라에 속한다. 이와 같은 칼데라에 물이 고인 것을 칼데라호수라고 한다. 칼데라 주변은 절벽으로 둘러싸여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설은 정반대되는 주장을 한다. 일본은 태평양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아뭏든 동해의
성인
은 아직도 불명하다고 하겠다. 개마고원과 백두산일대의 지형 평안북도 동쪽과 함경남북도에 걸쳐 유명한 개마고원이 있다. 이 고원은 해발1천m 이상 2천m까지의 산지를 주로 하고 이에 2천5백m 내외의 ... ...
성장 촉진제, 사회적난장이 키우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치료를 받은바있는 1백16명의 '캐나다'인 남·녀에 대한 조사를 보면 키는 커졌으나
성인
이 되고나서 사회적적응에 문제가 생겨 실업률은 보통사람의 3배나되고 결혼률은 5분의 1밖에 안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마니토바'대학의 '히더 딘'박사는 최근에 실시해 발표한 조사에서 다음 두가지 결론을 ... ...
평야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해로 시달리던 평야가 이제는 곡창의 구실을 하게 됐다. 평야란
성인
과는 관계없이 해발고도가 낮고 기복이 작거나 거의 없는 넓은 땅을 가리키는데,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까닭에 사방으로 지평선이 보일 정도로 넓은 평야는 없다. 호남평야 나주평야 김해평야 논산평야 평택평야 김포평야 ... ...
섬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화산활동에 의해 생긴 까닭에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울릉도는 최고봉인
성인
봉 북쪽에 화구원(火口原)인 나리분지가 있다. 나리분지는 해발 약 2백50m에 위치하여 2㎢ 내외의 면적을 가지는데, 분지안에 알봉이라는 작은 화산이 있다. 독도는 2개의 화산도로 나뉘어 있고, 최소한 2개의 화구가 ... ...
열강의 각축장 남극대륙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했다. 칠레는 남극대륙 진출을 위해 극지에 가까운 '레이 호르게'섬(남위53도 서경90도)에
성인
12명과 1~10세의 어린이 6명으로 이루어진 6가구를 이주시켰다. 라스 에스트렐야스라 이름붙인 이 마을은 칠레의 용기와 주권의 상징이며 미래의 고향이 남극이라고 믿는 신념의 표현으로 생각하고 있다 ... ...
20만원짜리 건강진단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것 같다.건강진단의 필요성과 장점에 대해 S병원의 한 관계자는 이렇게 설명한다. "각종
성인
병의 이환율이 높은 연령층의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점검해본다는 것은 예방의학적인 측면은 물론 국민보건적인 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그 결과 건강정도가 어느 정도인가, 위험한 또는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맑은 날씨에도 3등성은 돼야 희미하게나마 보이는게 현실이다. 예를들어 2등
성인
북두칠성도 맑은 날씨에야 뚜렷하게 보인다. 결국 핼리의 모습을 직접 보자면 어둡고 공해가 없는 시골로 내려가야 한다. 또한 이번 핼리회귀는 남쪽지방으로 가야만 관찰이 용이하다. 중부이남의 한적한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