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강
d라이브러리
"
몸상태
"(으)로 총 2,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창~문을 열어다오. 나의 사랑 줄리엣~."이 세레나데를 부르고 있는 주인공은 다름 아닌 모기다. 다른 동물이 짝짓기 철에 마음에 드는 상대를 발견하면 몸을 화려하게 꾸미거나 힘을 과시하거나 소리를 지르면서 사랑을 표현하듯이 모기도 이상형을 만나면 '노래'를 부른다. 특이하게도 모기가 '노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난 5월 존엄사(尊嚴死)를 인정하는 대법원의 판결이 나오면서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연명치료에 대한 논란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이 바로 77세의 김옥경 할머니다.김 할머니는 지난해 2월 폐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검사를 받다 출혈이 심해 뇌에 손상을 입었다. 그 결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이 진행한 아폴로 프로젝트의 핵심은 달에 인간을 ‘잠시’ 보내는 내용이었다. 달에 착륙한 우주인들은 과학 연구에 쓸 다양한 표본을 수집하며 활발히 활동했지만 달에 머문 시간은 길어야 며칠에 불과했다.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은 화성을 비롯한 다른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눈부신 태양빛이 내리쬐는 여름, 사람들은 민소매 티와 가벼운 옷차림으로 한껏 멋을 낸다. 하지만 한안나(가명) 양과 강암래(가명) 군은 여름만 되면 말 못할 고민에 빠진다.한 양은 땀을 많이 흘리는 다한증에, 강 군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액취증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비 오듯 흘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3올 초 시간의 흐름을 거슬러 살아야 하는 운명을 타고난 한 사나이가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벤자민 버튼. 미국 배우 브래드 피트가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에서 연기한 이 사나이는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젊어졌다.최근 과학계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는 세포가 주목을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3Träume sind Schäume.‘꿈은 물거품과 같다’란 뜻의, 단어 각운의 맛을 살린 독일 속담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거품은 ‘덧없음’을 상징하는 듯하다. 풍성한 것 같지만 속이 텅 비어 있고 그나마 시간이 지나면 방울이 하나둘 터지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거품은 열역학적으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버들붕어 지느러미에 형광색 점이 있는 이유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하천의 물고기는 평소에는 화려하거나 눈에 띄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물살이 빠른 곳에서는 체형이 둥글고 가는 물고기들이 살아간다. 반면 수초가 많은 곳이나 물 흐름이 느린 곳에서는 몸이 세로로 납작해 수초 사이를 ... ...
[뉴스포커스]WHO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선언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결국 인류가 손을 들었다.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를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 승패는 결정되지 않았다. 바이러스와의 남은 싸움은 정부가 아니라 인류 개개인의 몫이다.3국내 신종 인플루엔자(H1N1) 감염자가 100명을 넘었다. 지난 5월 2일 첫 번째 감염자가 확인돼 세계보건기구(WHO)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32003년 호주와 인도네시아의 고인류학자들은 아시아에서 호주로 처음 이주한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의 흔적을 찾는 탐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한 석회암 동굴에서 예상치 못한 인류의 골격을 한 구 발견했다. 동굴 이름인 ‘리앙 부아’(Liang Bua)의 앞 글자와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97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미국 사회에서 신경보철(Neural Prosthesis)이라는 단어는 사전에 등재되지도 않을 만큼 낯선 분야였다. 1978년 서울대에서 전자공학 학사를 마치고 생체전자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길에 올랐던 서울대 전기공학부 김성준 교수도 신경보철에 대해 모르긴 마찬가지였다.6백만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